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근현대 영화
인사전

오가와 신스케

다른 표기 언어 Shinsuke Ogawa , 小川紳介 , おがわ しんすけ
요약 테이블
출생 1935년 6월 25일, 일본 가나가와 현(かながわけん, Kanagawa) 사가미하라 시(さがみはらし, Sagamihara)
사망 1992년 2월 7일, 일본 가나가와 현(かながわけん, Kanagawa) 사가미하라 시(さがみはらし, Sagamihara)
본명 오가와 신스케 (Shinsuke Ogawa , 小川紳介 , おがわ しんすけ)
수상 1970년 일본감독조합 신인감독상(<일본해방전선: 나리타의 여름>), 1971년 만하임-하이델베르그 국제영화제 조세프 폰 스텐베르그상(<산리즈카: 제 2요새의 농민들>), 1984년 베를린국제영화제 뉴시네마 포럼부문 비평가협회상(<일본 마을 - 후루야시키>), 1988년 하와이 국제영화제 심사위원특별상(<천년 단위의 해시계: 마기노 마을>)
데뷔 <청년의 바다 - 네명의 통신교육생>(靑年の海 - 四人の通信敎育生たち / A Sea of Youth, 1966)

요약 오가와 신스케는 츠치모토 노리아키(Noriaki Tsuchimoto / 土本典昭)와 함께 일본 다큐멘터리계를 대표하는 거장감독으로 꼽힌다. 이와나미 영화사(Iwanami Productions Inc.)에 소속되어 홍보영화를 만들다가 독립영화 감독이 된 후, 1960~70년대 일본의 급진적 정치운동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만들기 시작했다. 1966년에 발표한 <청년의 바다 - 네명의 통신교육생>(靑年の海 - 四人の通信敎育生たち, A Sea of Youth)을 데뷔작으로, <일본해방전선: 나리타의 여름>(日本開放戦線 三里塚の夏, Summer in Narita, 1968), <산리즈카: 제 2요새의 농민들>(三里塚 第二砦の人々, Narita: The Peasants of the Second Fortress, 1971), <산리즈카: 헤타마을>(三里塚 辺田部落, Sanrizuka: Heta buraku, 1973) 등의 작품을 통해 나리타공항 건설 반대투쟁으로 상징되던 1960~70년대 일본의 진보적 다큐멘터리 영화운동을 주도했다.

오가와 신스케

Shinsuke Ogawa | 小川紳介

ⓒ 다음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생애와 이력

일본의 다큐멘터리 영화감독. 1935년 6월 25일 일본 가나가와 현(かながわけん, Kanagawa) 사가미하라시(さがみはらし, Sagamihara)에서 태어났다. 이와나미 영화사(Iwanami Productions Inc.)에 소속되어 홍보영화를 만들다가 독립영화 감독이 된 후, 1960~70년대 일본의 급진적 정치운동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만들기 시작했다.

나리타공항 건설 반대투쟁으로 상징되던 1960~70년대 일본 진보운동의 진영에 서서 다큐멘터리 영화의 새 장을 연 인물로 평가받는 오가와 신스케는 1992년 2월 7일 가나가와 현 사가미하라시에서 57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한다.

작품세계

오가와 신스케는 1966년에 발표한 <청년의 바다 - 네명의 통신교육생>(靑年の海 - 四人の通信敎育生たち, A Sea of Youth)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다큐멘터리 감독의 길에 접어든다. 1968년부터 1977년까지 약 10년에 걸쳐 만든 <일본해방전선: 나리타의 여름>(日本開放戦線 三里塚の夏, Summer in Narita, 1968), <산리즈카: 제 2요새의 농민들>(三里塚 第二砦の人々, Narita: The Peasants of the Second Fortress, 1971), <산리즈카: 이와야마에 철탑이 세워지다>(三里塚 岩山に鉄塔が出来た, Narita: The Building of the Iwayama Tower, 1972), <산리즈카: 헤타마을>(三里塚 辺田部落, Sanrizuka: Heta buraku, 1973), <산리즈카: 5월의 하늘>(三里塚 五月の空 里のかよい路, Narita: The Sky of May, 1977) 등은 <산리즈카> 연작(일명 <나리타> 연작)으로 불리는데, 산리즈카에 예정된 나리타국제공항 건설 반대투쟁에 나선 농민과 학생들의 모습을 담은 것으로, 이 중 <일본해방전선: 나리타의 여름>은 1970년 일본감독조합 신인감독상을 수상했다. 1970년 제작된 2시간 20분 길이의 <산리즈카: 제 2요새의 농민들>(三里塚 第二砦の人々, Narita: The Peasants of the Second Fortress, 1971)은 10년이라는 세월 동안 나리타 철거민들과 함께 살면서 공항철거 반대투쟁과 그 과정에서 쫓겨난 철거민들의 이주와 방황 등이 여실히 드러난 작품이다.

산리즈카: 헤타마을

三里塚 辺田部落 | Sanrizuka: Heta buraku

ⓒ 다음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오가와 신스케의 1980년대 이후의 작업은 일본의 전통문화와 농민에 대한 애정이 바탕에 깔려있는 것들이었다. 그는 스태프들과 함께 ‘오가와 프로덕션(Ogawa Productions)’을 결성하여 야마가타현(やまがたけん, Yamagata)의 마기노(まぎの, Magino) 마을로 옮긴 후 그곳에서 농민들의 일상과 농촌의 현실에 깊숙이 침투하여 세밀히 기록하는 일에 몰두했다. 농민과 함께 생활하며 벼를 기르고, 그들의 희로애락을 진실하게 담아낸 그의 다큐멘터리 작업은 1982년 작 <일본 마을 - 후루야시키>(ニッポン国 古屋敷村, A Japanese Village- Furuyashikimura)로 결실을 맺는데, 이 영화는 1984년 베를린국제영화제 뉴시네마 포럼 부문 비평가협회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 받았다.

일본 마을 - 후루야시키

ニッポン国 古屋敷村 | A Japanese Village - Furuyashikimura

ⓒ 다음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진실의 순간을 포착하여 전달하는 다큐멘터리 영화의 진수를 보여준 그의 영화들은 오락적 기능만 비대해진 현대영화의 양태에 대한 경고이고 자극제였다. 또한, 그는 텔리비전이 영상다큐멘터리의 주요 제작, 보급 매체로 자리를 굳힌 상황에서도 자신과 같은 다큐멘터리 작가의 영역은 늘 따로 있다고 믿었다. 제한된 시간 안에 제작되어 일회적인 방영으로 끝나는 TV 다큐멘터리와는 달리 ‘작가적’ 사명감을 지닌 다큐멘터리 영화감독들이 만드는 영화들은 일정한 '자기검열' 과정을 거치는 TV 저널리즘이 극복할 수 없는 한계를 넘어 진실에 접근해 갈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었다. "카메라와 다큐멘터리 작가가 얼마나 현장에 가까이 있는가"는 그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던 문제였다.

오가와 신스케는 김동원, 변영주 등 한국 독립다큐멘터리 감독들과도 남다른 인연을 가지고 교류했는데, 김동원 감독이 1988년 상계동 아파트단지 건설 때 쫓겨난 철거민들과 2년 동안 함께 생활하면서 만든 <상계동 올림픽>(The Sang Kye_dong Olympics, 1988)을 높이 평가했으며, <상계동 올림픽>과 더불어 장산곶매의 <파업전야>(The Night Before the Strike, 1990), <오! 꿈의 나라>(Oh! My Dream Country, 1988) 등 한국 독립영화들을 자신이 조직에 앞장섰던 야마가타 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Yamagata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를 통해 일본에 소개하기도 했다. 야마가타 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의 아시아부문 대상에는 그의 이름을 딴 상이 수여되고 있다. 신스케가 주도하여 조직된 야마가타 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는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선구적 인물인 김동원 감독에게 다큐멘터리 운동에 대한 확신과 열정을 전해주었고, 김동원으로 하여금 1991년 11월 한국 독립다큐멘터리를 대표하는 감독들을 배출해낸 다큐멘터리 제작 집단 ‘푸른영상’을 설립하도록 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한국을 대표하는 여성감독 변영주는 오가와 신스케와 그의 영화에 큰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영화사적 평가

오가와 신스케는 상업적인 극영화가 번성하면서 영화가 지닌 기록적 기능에 대한 관심이 극도로 낮아진 2차대전 이후의 세계영화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변영주 감독의 회고에 따르면, 오가와 신스케는 다큐멘터리 작업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찍는 대상이 토하는 말에 귀를 기울이고, 그 대상이 화면을 장악하도록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또한, 바바라 해머(Barbara Hammer)의 영화 <헌신>(Devotion, 2000)은 오가와 프로덕션의 활동과 영화사적 업적에 관한 다큐멘터리이다. 오가와 신스케는 츠치모토 노리아키(Noriaki Tsuchimoto | 土本典昭)와 함께 일본 다큐멘터리계를 대표하는 거장감독으로 꼽힌다.

작품목록

<청년의 바다 - 네명의 통신교육생>(靑年の海 - 四人の通信敎育生たち, A Sea of Youth, 일본, 1966, 다큐멘터리)
<압살의 숲>(圧殺の森 高崎経済大学闘争の記録, The Oppressed Students, 일본, 1967, 다큐멘터리)
<일본해방전선: 나리타의 여름>(日本開放戦線 三里塚の夏, Summer in Narita, 일본, 1968, 다큐멘터리)
<산리즈카: 제 2요새의 농민들>(三里塚 第二砦の人々, Narita: The Peasants of the Second Fortress, 일본, 1971, 다큐멘터리)
<산리즈카: 이와야마에 철탑이 세워지다>(三里塚 岩山に鉄塔が出来た, Narita: The Building of the Iwayama Tower, 일본, 1972, 다큐멘터리)
<산리즈카: 헤타마을>(三里塚 辺田部落, Sanrizuka: Heta buraku, 일본, 1973, 다큐멘터리)
<산리즈카: 5월의 하늘>(三里塚 五月の空 里のかよい路, Narita: The Sky of May, 일본, 1977, 다큐멘터리)
<마기노 이야기: 양잠편>(牧野物語 養蚕篇 -映画のための映画, 일본, 1977, 다큐멘터리)
<일본 마을 - 후루야시키>(ニッポン国 古屋敷村, A Japanese Village - Furuyashikimura, 일본, 1982, 다큐멘터리)
<천년 단위의 해시계: 마기노 마을>(1000年刻みの日時計 牧野村物語, Magino Village: A Tale, 일본, 1987, 다큐멘터리)
<홍시>(満山紅柿 上山 - 柿と人とのゆきかい, Red Persimons, 일본, 2001, 다큐멘터리)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근현대 영화인사전 | 저자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 cp명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이 사전은 전 세계 영화인들을 대상으로 한 인명사전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작성되었다. 본 사전의 표제어는 1) 한국권 (북한 포함), 2) 영..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오가와 신스케근현대 영화인사전,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