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932년 2월 6일, 프랑스 파리 |
---|---|
사망 | 1984년 10월 21일, 프랑스 뇌이쉬르센 |
본명 | 프랑수아 롤랑 트뤼포(François Roland Truffaut) |
수상 | 1959년 칸영화제 감독상(<400번의 구타>), 1968년 루이델뤽상(<도둑맞은 키스>) |
데뷔 | 1959년 <400번의 구타>(Les Quatre cents coups, The 400 Blows, 프랑스) |
요약
프랑스의 영화감독. 장-뤽 고다르(Jean-Luc Godard), 에릭 로메르(Eric Rohmer) 등과 더불어 1960년대 프랑스 누벨바그(Nouvelle Vague)를 대표하는 감독이다.
생애와 이력
프랑수아 트뤼포는 1932년 2월 6일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났다. 트뤼포라는 성은 그의 양부(養父)였던 롤랑 트뤼포(Roland Truffaut)의 성을 딴 것이다. 어린 시절 트뤼포는 할머니 손에서 자랐으며 할머니가 세상을 떠난 후에야 처음으로 부모와 함께 살게 된다.
어린 시절 그는 친구들과 어울려 놀기는 좋아하는 아이였다. 특히 영화는 집안 분위기에 만족하지 못했던 트뤼포에게는 일종의 도피처 역할을 했다. 그는 시네마테크 프랑세즈(Cinémathèque Française)를 즐겨 찾았으며, 그 곳에서 존 포드(John Ford), 하워드 혹스(Howard Hawks), 니콜라스 레이(Nicholas Ray), 알프레드 히치콕(Alfred Hitchcock) 고전적인 감독들의 작품을 접하였다.
프랑스와 트뤼포는 1950년대 초 앙드레 바쟁의「카이에 뒤 시네마」에 기고했던 5명의 젊은 영화 비평가들 중의 한 사람이었고 누벨 바그 세대의 뛰어난 영화작가다. 보다 문학적이고 시나리오에 치중한 프랑스적인 ‘질의 전통’과 연관된 영화감독과 각본가들 보다는 프랑스의 르느와르, 비고, 타티나, 미국의 포드, 웰즈 등과 같은 진정한 영화 역사와 영화예술에 대한 시각인, 작가주의를 처음으로 창안해낸 사람이 트뤼포였다. 트뤼포의 고유한 용어와 특성은 앤드류 사리스, 로빈 우드, 빅톨 F. 퍼킨스를 포함하여 영미의 영화 비평가들의 후세대에 의해 모방되고 해석되었다.
작품세계
1959년에 트뤼포가 그의 첫 작품 <400번의 구타>를 만들었을 때, 프랑스 사회의 속박에서 해방되어 불확실하지만 개방된 미래와 직면하는 앙트완느 드와넬이라는 한 청소년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그는 영화의 자발성에 대한 아이디어를 실행에 옮겼다. 첫 작품을 만든 이래, 트뤼포의 경력은 드와넬이라는 인물(5편의 영화)의 미래에 대한 천착에 의해, 그리고 트뤼포가 앙트완느 역을 연기시키기 위해 발굴한 배우 (장 피에르 레오)에 의해 주도되어 왔다. 트뤼포가 영화를 만들었던 25년 동안, 감독, 드와넬, 레오는 모두 함께 성장했던 것이다.
<400번의 구타>의 반항적인 10대의 앙트완느는 <20살의 사랑> 중의 에피소드인「앙트완느와 콜레트」에서는 주저하며 수줍고 성적으로 매력 없는 구혼자로 변한다. <도둑맞은 키스>에서의 앙트완느는 나이는 더 들었지만 사랑이나 돈 버는 데 있어서 더 현명해져 있지는 않다. <부부의 거처>의 앙트완느는 결혼했지만 그 밖의 다른 것 - 다른 성적인 모험의 이국적인 유혹 -을 향해 여전히 내달리고 있다. 그리고 <사랑의 도피>에서도 앙트완느는 여전히 달리고 있다.(달리기는 드와넬 인물 성격의 핵심적인 은유로, <400번의 구타>를 맺음하는 달리는 긴 시퀀스가 여기서는 처음에 보여지고 있다.) 비록 앙트완느는 이제 이혼했지만, 그가 마침내 완성한 소설은 그의 문학적 명성을 이루어준다. 그 소설이 밝혀주는 것은 삶 자체이며 트뤼포에 의해 영화화된 전체의 드와넬 연대기이고, 트뤼포는 주기적으로 만든 드와넬 영화의 시각적이고 정신적인 회상 장면들로 영화를 채워 놓는다. 트뤼포는 씌어진 허구와 영화화된 허구, 인간의 실제 삶과 등장인물의 허구적 삶 사이의 차이를 조심스럽게 무너뜨린다. 이 무너뜨림은 감독인 트뤼포, 영화의 인물인 드와넬, 배우인 레오 사이의 개인적이고 직접적인 연결에 의해 정당화되는 것처럼 보인다.
드와넬을 다루지 않은 다른 많은 트뤼포의 영화는 예술과 인생, 영화와 허구 사이의 경계를 유사하게 탐험하는 양식의 작품들이다.<피아니스트를 쏴라>의 주인공은, <쥘과 짐>의 카트린느처럼, 자신을 허구의 인물로 변화시키려고 애쓴다. 두 사람은 실제 삶이 요구하는 긴박함과 직면했을 때 허구적인 인물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깨닫는다.<비련의 신부>는 알프레드 히치콕에게 바치는 트뤼포의 애가이자 히치콕적인 방법으로 구성된 양식적인 작품이었고, 레이 브래드버리의 소설을 각색한 <화씨451°>는 책이 소각된 사회에서의 자유의 결핍을 탐구한다. <아델 H 이야기>에서 아델 H.는 자신의 열정을 책, 즉 그녀의 일기로 바꿔 놓으려고 시도하지만 인생은 그녀의 열정에 보답할 수 없으며, 그녀를 광기로 몰아넣고 삶에서 그녀의 낭만적인 소설의 환상 속으로 완전히 그녀를 돌려놓는 쪽으로 몰고 간다. <여자를 사랑한 남자>에서 치료 불능의 여성스러운 남자는 그의 욕망을 성공적인 소설로 옮겨 놓지만, 작품의 존재는 소설을 생기 있게 만들어준 그 욕망을 확산시키거나 부드럽게 하거나 승화시키는 어떠한 방법도 갖지 못한다. 헨리 제임스의 단편을 신중하고 맵시 있게 각색한 <녹색 방>은 소설과 소설가의 재능에 표하는 트뤼포의 경의를 담는다.
영화와 소설에 대한 그의 의식적인 헌신을 고려할 때, 트뤼포가 영화 연출 자체에 대한 주제를 그의 영화에 봉헌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사랑의 묵시록>은 영화 만들기라는 일에 관한 가장 애정 깊고 의미심장한 영화 중의 한 작품이고, 인생의 환영을 포착하고 전달하기 위해 인공적인 기교를 이용하는 방법들에 대한 풍부한 예증이다. 트뤼포 자신이 영화감독 역을 연기하는 이 영화는 펠리니의 <8과 1/2>이나 베리만의 <페르소나>(Persona)에서의 매우 고통받는 감독의 상상력에 대한 신중한 대응이며, 영화 만들기의 환희와 고뇌에 대한 활기 넘치는 옹호다.
영화사적 평가
친구이자 동료였던 고다르와는 달리 트뤼포는 영화 형식과 영화 영상에 대한 과격한 정치적 비평을 감행하기 보다는 예술과 인생, 영화와 허구, 젊은이와 교육, 예술과 교육이라는 매우 엄숙한 주제에 일관성 있게 전념해왔다. 트뤼포는 그의 가장 정치적인 영화인『마지막 지하철』에서, 나치 점령하의 파리의 연극 단체를 고찰하는 가운데 자신의 입장을 진술하는 듯이 보인다. 그 시기의 배우들처럼, 영화감독은 그가 아는 방식으로 예술작품 만들기를 계속 할 수 있을 뿐이다. 예술의 형식상의 탁월함에 대한 그의 전념은 영향력 있는 예술이 언제나 그래왔듯이 정치적 목적에 궁극적으로 봉사하게 될 것이다. 그에게 있어서 정치적이고, 계획에 따른 목적을 위해 자신의 예술적인 재능을 기만하는 것은 어쩌면 조악한 예술과 조악한 정치적인 진술을 만들어내도록 이끌게 할 것이라고 트뤼포는 고백하는 것처럼 보인다. 예술적인 형식에 대한 이 재현사에서, 트뤼포는 그가「카이에 뒤 시네마」에 기술했던 장 르느와르와의 친화감을 재천명하고 있다. 트뤼포처럼, 르느와르는 그가 젊은 시절에 만든 무척 반항적인 흑백영화에서 성숙기에는 보다 세상을 긍정하는 색채영화로 나아갔다. 트뤼포처럼, 르느와르는 자신의 영화에서 주요 역할을 연기했다. 트뤼포처럼, 르느와르는 갈등에 처한 인간의 선택은 안이한 도덕적인, 또는 정치적인 정칙에 따라 비난받을 수는 없다고 믿었다. 트뤼포처럼, 르느와르는 예술(영화 예술)의 창조를 무정형의 현실이라는 혼돈스러운 무질서에 대한, 진정으로 인간답고 의미 깊은 답변으로 이해했던 것이다.
작품목록
<방문객>(Une visite, 프랑스, 1955, 단편)
<개구쟁이들>(Les Mistons, The Kids, 프랑스, 1957, 단편)
<지친 사람들>(Les surmenés, 프랑스, 1958, 단편, 각본)
<하녀 안나>(Anna la bonne, 벨기에, 1958, 단편, 프로듀서)
<400번의 구타>(Les Quatre cents coups, The 400 Blows, 프랑스, 1959)
<네 멋대로 해라>(À bout de souffle, Breathless, 프랑스, 1960, 원안)
<피아니스트를 쏴라>(Tirez Sur Le Pianiste, Shoot the Piano Player, 프랑스, 1960)
<게으른 병사>(Tire-au-flanc 62, 프랑스, 1960)
<황금 풍뎅이>(Le scarabée d’or, 프랑스, 1961, 단편, 프로듀서)
<물 이야기>(Une histoire D’Eau/A Story of Water, 프랑스, 1961, 단편)
<므 페르 싸 아 무아>(Me faire ça à moi, 프랑스, 1961, 각본)
<앙투안과 콜레트>(Antoine et Colette/Antoine and Colette, 프랑스, 1962, 단편)
<쥴 앤 짐>(Jules et Jim/Jules and Jim, 프랑스, 1962)
<부푼 머리>(A Swelled Head, 프랑스, 1962, 각본)
<20살의 사랑>(L’Amour A Vingt Ans/Love at Twenty, 프랑스/이탈리아/일본/폴란드/독일, 1962)
<부드러운 살결>(La Peau douce/The Soft Skin, 프랑스, 1964)
<마타하리>(Mata Hari, agent H21, 프랑스/이탈리아, 1964, 각본)
<화씨 451>(Fahrenheit 451, 영국, 1966)
<비련의 신부>(La Mariée était en noir/The Bride Wore Black, 프랑스/이탈리아, 1968)
<벌거벗은 유년 시절>(L’enfance nue/Naked Childhood, 프랑스, 1968, 프로듀서)
<훔친 키스>(Baisers volés/Stolen Kisses, 프랑스, 1968)
<미시시피 인어>(La sirène du Mississipi/Mississippi Mermaid, 프랑스/이탈리아, 1969)
<와일드 차일드>(L’Enfant sauvage/The Wild Child, 프랑스, 1970)
<부부의 거처>(Domicile conjugal/Bed & Board, 프랑스/이탈리아, 1970)
<두 명의 영국 여인과 유럽 대륙>(Les Deux Anglaises Et Le Continent/Two English Girls and the Continent, 프랑스, 1971)
<나처럼 예쁜 여자>(Une belle fille comme moi/A Gorgeous Girl Like Me, 프랑스, 1972)
<사랑의 묵시록>(La Nuit américaine/Day for Night, 프랑스/이탈리아, 1973)
<아델 H 이야기>(L’ Histoire d’Adele H/The Story of Adele H, 프랑스, 1975)
<포켓 머니>(L’Argent De Poche/Small Change, 프랑스, 1976)
<여자를 사랑한 남자>(L’Homme Qui Aimait Les Femmes/The Man Who Loved Women, 프랑스, 1977)
<녹색 방>(La Chambre verte/The Green Room, 프랑스, 1978)
<사랑의 도피>(L’Amour en fuite/Love on the Run, 프랑스, 1979)
<마지막 지하철>(Le Dernier Métro/The Last Metro, 프랑스, 1980)
<이웃집 여인>(La Femme d’à côté/The Woman Next Door, 프랑스, 1981)
<브레드레스>(Breathless, 미국, 1983, 각본)
<일요일이 기다려진다>(Vivement Dimanche!/Confidentially Yours, 프랑스, 1983)
<사랑 도박>(The Man Who Loved Women, 미국, 1983, 원안)
<귀여운 여도적>(La Petite Voleuse/The Little Thief, 프랑스, 1988, 각본)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