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근현대 영화
인사전

하명중

다른 표기 언어 Hah Myung-joong , 河明中
요약 테이블
출생 1947년 5월 14일 부산
본명 하명중
수상 제12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연기상(<나와 나>, 1972년), 제14회 대종상 남우주연상( <불꽃>, 1975년), 제17회 대종상 남우주연상(<족보>, 1978년)
데뷔 <엑스(X)>(1983년)

요약 한국의 배우이자 영화감독 겸 제작자. 하명중은 1947년 5월 14일 부산에서 출생했다. 본명은 하명종(河明鐘)이며 영화감독인 하길종 감독의 동생이기도 하다. 그는 중앙고등학교를 거쳐서 경희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다시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독어를 전공했다. 하명중은 영화감독이기 이전에 배우로 활동하며 자신의 이름을 알렸다. 하명중은 귀국한 후, <울지도 못합니다>(1969)를 시작으로 1980년대 초반까지 영화배우로서 정력적으로 활동했다. 그 중 자신의 형인 하길종 감독의 영화에 많이 출연했는데, <화분>(1972), <수절>(1973), <바보들의 행진>(1975), <한네의 승천>(1977) 등이 그것이다. 이렇듯 그는 많은 영화에 출연하면서 70년대를 대표하는 남성배우로 자리를 잡았다. 하명중은 70년대를 대표하는 남성연기자이면서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한 영화감독이었다.

하명중

생애와 이력

하명중 Hah Myung-joong 河明中 (1947~ )


한국의 배우이자 영화감독 겸 제작자. 하명중은 1947년 5월 14일 부산에서 출생했다. 본명은 하명종(河明鐘)이며 영화감독인 하길종 감독의 동생이기도 하다. 그는 중앙고등학교를 거쳐서 경희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다시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독어를 전공했다.
하명중은 영화감독이기 이전에 배우로 활동하며 자신의 이름을 알렸다. 그의 연예계 입문은 1965년 성우 오디션에 참가한 친구 김세한을 따라갔다가 우연히 탤런트 오디션에 응모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한국일보』, 2008년 1월 6일). 그는 오디션에 합격해 KBS 5기 탤런트로 연예계에 데뷔했고, 동시에 연극무대에서 배우로도 활동했다. 그는 실험극단에서 문고현 연출의 <서쪽 나라의 장난꾸러기>와 이혜란 연출의 <안네의 일기>에 참여했었다. 그리고 1966년 KBS 드라마 <다리>에 출연하면서 본격적으로 배우로서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는 당시 한국을 방문했던 쇼브라더스의 대표 란란쇼(邵逸夫)에게 발탁되어 홍콩으로 진출하기도 하였다. 하명중은 한국에서 최초로 홍콩 쇼브라더스의 전속 배우가 된 것이다(『한국일보』, 2008년 03월 31일).

그는 하명종 대신 하명중(何明中)이라는 예명으로 해외활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그리 오래 활동하지는 못하고 국적문제로 1969년 한국으로 돌아와(『한국일보』, 2008년 06월 02일) 연기활동을 재개해야 했다. 하명중은 귀국한 후, <울지도 못합니다>(1969)를 시작으로 1980년대 초반까지 영화배우로서 정력적으로 활동했다. 그 중 자신의 형인 하길종 감독의 영화에 많이 출연했는데, <화분>(1972), <수절>(1973), <바보들의 행진>(1975), <한네의 승천>(1977) 등이 그것이다. 그 외에도 유현목 감독의 <불꽃>(1975), 임권택 감독의 <족보>(1978), <깃발없는 기수>(1979), 김기영 감독의 <느미>(1979), 이두용 감독의 <최후의 증인>(1980) 등의 작품에 출연하며 하명중은 영화배우로서의 입지를 다져나갔다.

울지도 못합니다

ⓒ Daum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작품 세계

그는 많은 영화에 출연하면서 70년대를 대표하는 남성배우로 자리를 잡았다. 동시에 연기력도 인정을 받으면서 영화제에서 많은 상을 수상했다. 하명중은 1971년 제9회 백상예술대상에서 조문진 감독의 <약속은 없었지만>(1970)을 통해 영화부문 신인상을 수상했고, 1974년에는 이원세 감독의 <나와 나>(1972)로 제12회 백상예술대상에서 영화부문 연기상을 수상했다. 뿐만 아니라 제14회 대종상 영화제에서 유현목 감독의 <불꽃>(1975)으로 남우주연상을, 제17회 대종상 영화제에서 임권택 감독의 <족보>(1978)로 남우주연상을 받았다.

하명중은 배우로 데뷔하기 이전부터 영화연출을 하고 싶어 했다. 그리고 그만큼 감독으로서의 재능도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형 하길종 감독은 하명중이 배우로만 있는 것에 안타까워했었고, 김기영 감독은 <느미>를 연출하면서 영화에서 배우로 참여하고 있던 하명중에게 자문을 구하기도 했었다고 한다(『한겨레』, 2007년 09월 09일).
당대 최고의 감독들에게 인정받을 정도의 영화적 감각을 소유한 하명중이 영화감독으로 데뷔한 것은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그런 그가 영화감독을 하겠다고 결심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형 하길종 감독의 갑작스러운 죽음 때문이었다. 1979년 하길종 감독이 요절하자 하명중은 “형의 유지를 받들겠다”고 결심, 감독 데뷔를 준비하기 시작했다(『경향신문』, 1983년 02월 31일).

하명중은 약 3년간의 준비 끝에 1983년 <엑스(X)>를 연출하며 영화감독으로 데뷔를 했다. <엑스(X)>는 조해일의 원작소설 『X』를 영화화한 것(『경향신문』, 1983년 02월 31일)으로 본인이 직접 각색했다. <엑스(X)>는 현실에 좌절한 대학 강사와 자신의 출신을 비관한 여성의 비극적 만남과 이별을 그린 영화로, 실험적인 영화기법들이 두드러진 작품이었다. 이 영화로 하명중은 대종상 신인감독상을 수상하며 배우 하명중이 아닌 영화감독 하명중으로서 다시 한 번 이름을 알릴 수 있었다.
그는 그 다음해 <땡볕>(1984)을 연출했다. 자신이 주연배우로 출연한 <땡볕>은 영화감독 하명중의 대표작이기도 하다. 그는 김유정의 단편소설 『땡볕』(1937)을 중심으로 『소낙비』(1935), 『솥』(1935) 등을 조합하여 영화 <땡볕>의 내용을 구성했(이세기,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

<땡볕>은 발표된 그해 국내 영화제에서 많은 상을 수상했다. 제23회 대종상에서 촬영상․음악상․조명상․특별상․신인여우상을, 제21회 백상예술대상에서 신인연기상, 제5회 영평상에서 남자연기상과 신인연기상, 제30회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에서 특별상을 수상했다. 영화는 국내 영화제뿐만 아니라 베를린 영화제 본선에 진출하기도 했다. <땡볕>은 한국영화 최초로 베를린 영화제에서 경쟁부문에 진출하면서 더 많은 관심을 끌게 되었다. 그 외에도 제21회 시카고국제영화제에 출품되어 최우수촬영상을 수상했다.

그 후 하명중은 1985년 ‘하명중 영화제작소’를 설립(『경향신문』, 1985년 09월 10일)하고 <태>(1985)를 제작했다. <태>는 천승세의 소설 『낙월도』를 영화화(『동아일보』, 1986년 03월 28일)한 것으로 외부와 단절된 낙월도라는 섬에서 지배자의 핍박을 받으며 살아가는 섬사람들이 자신의 한을 토속신앙으로 풀어낸다는 내용의 영화였다. 영화는 섬을 다스리는 카리스마적 인물과 그에 저항하는 민중을 담아냈다는 이유로 제작단계에서부터 정부의 눈총을 받았다.

하명중은 이후 1991년에 가난한 형제가 할머니와 함께 생활하는 이야기를 그린 <혼자도는 바람개비>를 발표했다. 제2회 소년소녀가장수기 공모에서 대상을 받은 사연을 영화화한 것으로 하명중은 소년가장의 애환을 차분하게 그렸다. 하명중은 <혼자도는 바람개비> 이후 하명중 영화제작소에서 영화연출이 아닌 영화 수입과 제작, 극장 경영에 집중했다. 그는 다시 2007년 최인호의 동명소설을 영화화한 <어머니는 죽지 않는다>를 연출하면서 영화현장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2년 뒤 <주문진>(2009)을 연출했다. 그러나 영화의 평가는 부정적이었고 흥행에도 실패했다.

영화사적 평가

하명중은 70년대를 대표하는 남성연기자이면서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한 영화감독이었다. 그가 연출한 영화는 사실적인 묘사와 훌륭한 영상미, 그리고 명확한 주제의식을 드러냈다. 그의 영화는 국내에서 성과를 거두었을 뿐만 아니라, 세계 영화제에 진출하며 작품성을 인정받기도 했다. 일본의 영화평론가 사또 구니오(佐藤邦夫)가 하명중을 “분명한 메시지와 테마를 추구하고 있는 신예”(『경향신문』, 1986년 03월 13일)로 평가한 것도 그 때문이다. 한국영화계에서 영화배우가 영화감독으로서 활동하며, 그 능력을 인정받은 경우는 현재까지도 드물다. 하명중은 영화계에서 배우이자 감독으로 활동하며 두 분야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뚜렷하게 드러낸 영화인이라는 측면에서 한국영화사에서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작품 목록

<한많은 대동강> (Bitter Daedong River (Hanmaneun Daedonggang), 한국, 1966, 배우)
<울지도 못합니다> (Singer and Daughter (Uljido Motamnida), 한국, 1969, 배우)
<일등사장> (A Bogus President (Ildeungsajang), 한국, 1970, 배우)
<천사여 옷을 입어라> (Angel, Put Your Clothes on (Cheonsa-yeo os-eul ib-eola), 한국, 1970, 배우)
<특공대와 돌아오지 않는 해병> (Special Marine Corps of No Return (Teuggongdae-wa dol-a-oji anhneun haebyeong), 한국, 1970, 배우)
<할아버지는 멋쟁이> (The Good Father-in-law (Hal-abeojineun meosjaeng-i), 한국, 1970, 배우)
<요화의 전설> (The Legend of Departed Soul (Yohwa-ui jeonseol), 한국, 1970, 배우)
<약속은 없었지만> (Though There was No Vow (Yagsog-eun eobs-eossjiman), 한국, 1970, 배우)
<사녀의 한> (Revenge of the Snake Woman (Sanyeo-ui han), 한국, 1970, 배우)
<누야 와 시집안가노> (Why She Doesn't Marry (Nu-ya wa sijib-angano), 한국, 1970, 배우)
<용호칠협> (Wild Bunch of Seven (Yonghochilhyeob), 한국, 1970, 배우)
<나와 나> (Me, myself and I (Na-wa na), 한국, 1972, 배우)
<화분(꽃가루)> (The Pollen of Flowers (Hwabun), 한국, 1972, 배우)
<의사 안중근> (An Jung-Geun, the Patriot(Uisa An Junggeun), 한국, 1972, 배우)
<수절> (Fidelity (Sujeol), 한국, 1973, 배우)
<엄마결혼식> (Mammy's Wedding (Eommagyeolhonsig), 한국, 1973, 배우)
<특별수사본부 배태옥 사건> (Special Investigation Bureau Bae Tae Ok Case (Teugbyeolsusabonbu Bae Taeok sageon), 한국, 1973, 배우)
<몸 전체로 사랑을> (Love with my whole body (Momjeonchelo salang-eul), 한국, 1973, 배우)
<마음은 푸른 하늘> (My heart is blue sky (Ma-eum-eun puleun haneul), 한국, 1973, 배우)
<올챙이 구애작전> (A tadpole's courtship (Olchaeng-i gu-aejagjeon), 한국, 1974, 배우)
<호기심> (Curiosity (Hogisim), 한국, 1974, 배우)
<박수무당> (An Exorcist (Bagsumudang), 한국, 1974, 배우)
<만나야 할 사람> (The one who I should meet (Manna-ya hal salam), 한국, 1974, 배우)
<환녀> (Hwannyeo (Hwannyeo), 한국, 1974, 배우)
<2박 3일> (2nights 3days (2bag 3il), 한국, 1974, 배우)
<나상> (Nasang (Nasang), 한국, 1974, 배우)
<나는 어떡하라고> (What Should I Do? (Naneun eotteoghalago), 한국, 1975, 특별출연)
<불꽃> (Flame (Bulkkoch), 한국, 1975, 배우)
<타인의 숨결> (Strange Feeling (Ta-in-ui sumgyeol), 한국, 1975, 배우)
<빛은 어디에> (Where is the light? (Bich-eun eodi-e), 한국, 1975, 배우)
<바보들의 행진> (The March of Fools (Babodeul-ui haengjin), 한국, 1975, 특별출연)
<발가락이 닮았다> (Similar Toes (Balgalag-i dalm-assda), 한국, 1976, 배우)
<고교얄개> (Yalkae, A Joker In High School (Gogyo-yalgae), 한국, 1976, 배우)
<숨겨논 여자> (Secret Woman (Sumgyeonon yeoja), 한국, 1970, 배우)
<목마와 숙녀> (Rocking Horse And A Girl (Mogma-wa sugnyeo), 한국, 1976, 배우)
<독수리전선> (Battle of Eagle (Dogsulijeonseon), 한국, 1976, 배우)
<고교 우량아> (High School Champ (Gogyo ulyang-a), 한국, 1977, 배우)
<여고얄개> (Prankster of Girl's High School (Yeogo-yalgae), 한국, 1977, 배우)
<난중일기> (A War Diary (Nanjung-ilgi), 한국, 1977, 배우)
<고교결전 자! 지금부터야> (Standoff! This is the Beginning of Games (Gogyogyeoljeon ja! jigeumbuteo-ya), 한국, 1977, 배우)
<얄개행진곡> (Mischief's Marching Song (Yalgaehaengjingog), 한국, 1977, 배우)
<벽속의 두사람> (The Two People in the Wall (Byeogsog-ui dusalam), 한국, 1977, 배우)
<한네의 승천> (The Ascension of Han-ne (Hanne-ui seungcheon), 한국, 1977, 배우)
<꽃순이를 아시나요> (Do You Know Kotsuni? (Kkochsun-ileul asina-yo), 한국, 1978, 배우)
<족보> (The Family Pedigree (Jogbo), 한국, 1978, 배우)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The Guest in Room Guest and Mother (Salangbang sonnimgwa eomeoni), 한국, 1978, 배우)
<슬픔이 파도를 넘을 때> (When Sadness Takes Over a Wave (Seulpeum-i padoleul neom-eul ttae), 한국, 1978, 배우)
<나는 77번 아가씨> (I Am Lady Number 77 (Naneun 77beon agassi), 한국, 1978, 배우)
<황혼> (Twilight (Hwanghon), 한국, 1978, 배우)
<호반의 메아리> (An Echo of Lakeside (Hoban-ui me-ali), 한국, 1978, 배우)
<휘청거리는 오후> (Unsettling Afternoon (Hwicheonggeolineun ohu), 한국, 1978, 배우)
<무상> (In Vain (Musang), 한국, 1978, 배우)
<길> (Road (Gil), 한국, 1978, 배우)
<꽃띠 여자(12월 32일생)> (Flower Woman (Kkochtti yeoja), 한국, 1979, 배우)
<우리는 밤차를 탔읍니다> (We Took the Night Train (Ulineun bamchaleul tass-eubnida), 한국, 1979, 배우)
<사랑이 깊어질 때> (When Love Blossoms (Salang-i gip-eojil ttae), 한국, 1979, 배우)
<느미> (Neu-mi (Neumi), 한국, 1979, 배우)
<터질듯한 이 가슴을> (Hearts on Fire (Teojildeushan i gaseum-eul), 한국, 1979, 배우)
<26 x 365 = 0> (26 x 365 = 0 (26 x 365 = 0 26 x 365 = 0), 한국, 1979, 배우)
<아침에 퇴근하는 여자> (The Woman Who Leaves Work in the Morning (Achim-e toegeunhaneun yeoja), 한국, 1979, 배우)
<갑자기 불꽃처럼> (Sudden Flame (Gabjagi bulkkochcheoleom), 한국, 1979, 배우)
<깃발없는 기수> (No Glory (Gisbal-eobneun gisu), 한국, 1979, 배우)
<우산속의 세 여자> (Three Women Under the Umbrella (Usansog-ui se yeoja), 한국, 1980, 배우)
<사람의 아들> (Son of a Man (Salam-ui adeul), 한국, 1980, 배우)
<휴가받은 여자> (Woman on Vacation (Hyugabad-eun yeoja), 한국, 1980, 배우)
<최후의 증인> (The Last Witness (Choehu-ui jeung-in), 한국, 1980, 배우)
<밤의 천국> (A Night's Heaven (Bam-ui cheongug), 한국, 1982, 배우)
<정부> (Mistress (Jeongbu), 한국, 1982, 배우)
<애마부인> (The Ae-ma Woman (Aemabu-in), 한국, 1982, 배우)
<여자와 비> (The Woman and Rain (Yeoja-wa bi), 한국, 1982, 배우)
<탄야> (Tan-ya (Tanya), 한국, 1982, 배우)
<타인의 둥지> (Another's Nest (Tain-ui dungji), 한국, 1982, 배우)
<엑스(X)> (X (Ekseu), 한국, 1983)
<땡볕> (Blazing Sun (Ttaengbyeot), 한국, 1984)
<태> (The Placenta (Tae), 한국, 1986)
<제2의 성> (A Second Sex (Je2ui seong), 한국, 1988, 제작)
<혼자도는 바람개비> (The Pinwheel that Spins Alone(Honjadoneun balamgaebi), 한국, 1990)
<유리> (Yuri(Yuli), 한국, 1996, 제작)
<어머니는 죽지 않는다> (Mother (Eommoni-neun Jukji Anneunda), 한국, 2007)
<주문진> (Joomoonjin (Joomoonjin), 한국, 2009)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근현대 영화인사전 | 저자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 cp명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이 사전은 전 세계 영화인들을 대상으로 한 인명사전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작성되었다. 본 사전의 표제어는 1) 한국권 (북한 포함), 2) 영..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Daum백과] 하명중근현대 영화인사전,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