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근현대 영화
인사전

김수용

다른 표기 언어 Kim Soo-yong , 金洙容 동의어 향진, 鄕津, 호문, 湖汶, 흥촌, 興村, 군촌, 郡村, 학헌, 鶴軒
요약 테이블
출생 1929년 경기도 안성
수상 1963년 대종상 감독상(<혈맥>), 1967년 아시아영화제 감독상(<안개>)
데뷔 1958년 <공처가>

요약 김수용은 1929년 경기도 안성에서 출생하였다. 안성공립농업학교를 거쳐 서울사범대학을 졸업한 그는 유년기부터 영화와 문학에 관심이 많아 문예지에 투고를 하기도 했고, 자작 희곡으로 연극을 하는 등 예술적인 기질이 풍부한 사람이었다.김수용은 서울사범학교 연극부에서 활동하다가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1951년에 학생 신분으로 입대하여 대한민국 국방부 정훈국 영화과에 배속되면서 처음으로 영화를 매체로서 이해하게 되었다. 양주남의 조감독이 된 김수용은 <베뱅이굿>(1957)에 참여한 것이 계기가 되어 본격적으로 영화계에 입문하게 되었다. 장교생활을 하면서 만들었던 단편영화가 충무로 영화제작사의 눈에 띄었고, 이를 계기로 1958년 <공처가>(1958)로 영화감독 데뷔를 하게 되었다. 1965년 발표한 <갯마을>(1965)은 내러티브뿐 아니라 영상미가 돋보인 작품으로 문예영화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가져다 준 영화이다. 김수용은 1972년 홍콩으로 건너가 홍콩 영화사 쇼브라더스(邵氏兄弟有限公司, Shaw Brothers Limited)와 함께 <와와후링>(1972)과 <우중화>(1972)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그 해 미국으로 건너가 할리우드에 정착할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으나, 언어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한국으로 귀국하였다.

생애와 이력

김수용 Kim Soo-yong 金洙容 (1929 ~ )

한국의 영화감독. 김수용은 1929년 경기도 안성에서 출생하였다. 안성공립농업학교를 거쳐 서울사범대학을 졸업한 그는 유년기부터 영화와 문학에 관심이 많아 문예지에 투고를 하기도 했고, 자작 희곡으로 연극을 하는 등 예술적인 기질이 풍부한 사람이었다. 한 인터뷰를 통해 그는 “모파상의 『첫사랑』을 비롯, 장용학, 하근찬, 손창섭 등 한국 근대소설에 심취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김수용은 서울사범학교 연극부에서 활동하다가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1951년에 학생 신분으로 입대하여 대한민국 국방부 정훈국 영화과에 배속되면서 처음으로 영화를 매체로서 이해하게 되었다. 어려서부터 영특했던 김수용은 영화회화 실력 덕분에 중위 계급의 통역 장교가 되어 전선에 투입되지 않고, 대구에서 군 생활을 하였다. 당시 대구는 군 중심의 영화 촬영 중심지로 많은 영화인들이 집결해 있었다. 홍성기, 신상옥, 전택이, 김일해, 노경희, 황남, 정인엽 등이 그들인데 김수용은 이곳에서 군교육용 영화 제작에 참여하면서 영화 기술에 대해 익혔고, 영화제작에 중요한 연출과 기술 등을 습득했다. 그는 대구에서 당시 상사였던 선후휘의 지휘아래 군인교육용 영화 30편을 만들기도 했다(김수남, 『한국영화감독론 2』).

이후 양주남의 조감독이 된 김수용은 <베뱅이굿>(1957)에 참여한 것이 계기가 되어 본격적으로 영화계에 입문하게 되었다. 장교생활을 하면서 만들었던 단편영화가 충무로 영화제작사의 눈에 띄었고, 이를 계기로 1958년 <공처가>(1958)로 영화감독 데뷔를 하게 되었다. 곰탕집을 운영하고 있는 공처가 장소팔의 가족이야기인 <공처가>(1958)는 희극적인 결말을 가진 작품이었다.

1963년에는 신성일, 엄앵란 주연의 <청춘교실>(1963)을 발표하였는데, 청춘남녀들의 생기발랄한 대학생활을 줄거리로 하고 있다. 이 영화는 일본작품인 『저놈과 나』를 한국식으로 각색하였는데, 한국적인 현실과는 동떨어진 내용이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젊은 관객들에게 어필하면서 12만 명의 관객몰이를 하면서 흥행에 성공하였다(「빌..려..온..현..실 청춘교실」, 『동아』 1963. 8. 26).

수용의 이러한 노력으로 기존의 영화세계와는 다른 색깔을 보여주면서 평론가와 관객들에게 관심을 받게 된 것은 <굴비>(1963)와 <혈맥>(1963)을 발표하고 난 이후부터였다. 이들 작품은 소시민의 진솔한 삶의 현장에 관심을 가지고 리얼리즘의 색채를 보여주었던 영화였다. <굴비>(1963)는 서울에 사는 자식들을 만나러 온 노부부의 이야기를 통해 가족의 의미를 재확인할 수 있는 영화였다. 같은 해에 발표한 <혈맥>(1963)은 김영수의 희곡작품을 옮긴 영화로 1960년대 빈민촌을 무대로 실향민의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부모와 자식이 서로의 삶의 방식이 달라 갈등하지만, 결국 화해하고 서로를 이해하게 된다는 줄거리를 가진 작품이었다. <혈맥>(1963)은 그 해 대종상 감독상을 수상하였다(이세기, 『죽기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 ; 김수남, 『한국영화감독론 2』).

갯마을

ⓒ Daum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1965년 발표한 <갯마을>(1965)은 내러티브뿐 아니라 영상미가 돋보인 작품으로 문예영화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가져다 준 영화이다. 1960년대 중반 한국영화계는 신파성 멜로드라마와 청춘영화에 큰 관심을 드러냈는데, 김수용은 이러한 한국영화계의 현실을 타파하면서 문학작품이라는 단단한 토대가 갖추어진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멜로드라마 한 편을 선보였다. 그러나 이 작품을 계기로 한국영화의 흐름은 변화했고, 그 중심에 있는 영화가 바로 <갯마을>(1965)이었다(정종화, 김재희, 『한국영화사』).

김수용은 1972년 홍콩으로 건너가 홍콩 영화사 쇼브라더스(邵氏兄弟有限公司, Shaw Brothers Limited)와 함께 <와와후링>(1972)과 <우중화>(1972)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그 해 미국으로 건너가 할리우드에 정착할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으나, 언어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한국으로 귀국하였다. 이후 한국으로 돌아와 새로운 영화를 크랭크 인 하는 과정에서 일부 영화가 검열에 의해 수난을 당하면서 영화 창작에 대한 열의가 수난을 당하기도 했다. 1973년 제작된, 도시에서 살아가는 남녀의 이야기를 다룬 <야행>(1977)은 검열에 의해 상당 부분이 잘려나간 뒤 1977년에야 재개봉되었다. 오리지널 버전은 110분이 넘는 작품이었지만 검열에 의해 잘려나간 72분 길이의 짧은 필름만이 남아 있다. <도시로 간 처녀>(1981)는 버스 안내양의 빈궁한 삶을 묘사한 작품으로 사회적으로 민감한 소재를 다루었다는 이유로 개봉 하루 만에 상영이 금지되었다. 이병주의 장편소설을 영화화 한 <망명의 늪>(1978)은 군사 문화에 익숙한 당시의 지식인들을 통해 ‘인간의 양심이란 무엇인가’를 묻는 영화라는 이유로 제작비만 보상받고 창고에 묻힌 채 필름이 실종되었다.

만선

ⓒ Daum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작품 목록

김수용은 한국영화 감독 중 가장 다산(多産)했던 감독이었다. 108편이라는 한국영화 사상 최다 작품을 연출했고, 진부한 영상감각에서 벗어나 영화의 언어성을 찾으려 한 탐구열이 높았다. 특히 한국영화의 전성기였던 1960년대 많은 작품을 통해 이른바 ‘문예영화’라는 한국영화사의 한 흐름을 형성하였다. 그의 문예영화는 단편에서 중편, 단편, 희곡에 이르기까지 문학의 모든 장르를 섭렵했다. 초기 습작기를 제외하고는 거의 원작이 있는 소설이나 희곡을 바탕으로 영화를 만들었는데, 원작이 있는 작품만 30여 편에 이른다. 김동인, 김영수, 오영수, 이광수, 천승세, 김승옥, 김래성, 차범석, 김동리, 박계주, 이범선, 이효석, 김유정, 현진건, 박경리, 최인훈, 오태석, 그리고 모파상과 토마스 하디까지 많은 작가들이 창작의 영감이 되었다. 청주대학교 연극영화학과 교수로 후학을 양성하고, 영상물등급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등급심의를 총괄하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김수용은 문학에 대한 애정과 외경심을 가지고 문학적 가치에 버금가는 영화적 표현을 찾아내기 위해 노력한 감독이었다. 영화사가 이영일처럼 그의 영화 세계에 대해 "김수용은 재치는 있으나 작품은 일정치 않다"(이영일, 『이영일의 한국영화사 강의록』)는 박한 평가를 내리는 학자도 있다. 이와는 달리 영화평론가 안병섭은 “김수용은 한국영화 제2의 황금기인 1960년대(제1기 1920년대 중반의 나운규의<아리랑>시대)에 신상옥, 김기영, 유현목, 그리고 이만희 등과 함께 한국영화의 커다란 산맥을 이루었다”(안병섭,「김수용과 문예영화」)라고 그의 공과를 요약했다.

작품 목록

<공처가>(A Henpecked Husband (Gongcheoga), 한국, 1958)
<애상>(A grief (Aesang), 한국, 1959)
<청춘 배달>(A youth delivery (Cheongchunbaedal), 한국, 1959)
<3인의 신부>(Three brides (Sam-in-ui sinbu), 한국, 1959)
<구혼 결사대>(A band for proposal (Guhongyeolsadae), 한국, 1959)
<돌아온 사나이>(A returned man (Dol-a-on sana-i), 한국, 1960)
<버림받은 천사>(A deserted angel (Beolimbad-eun cheonsa), 한국, 1960)
<연애전선>(A love front (Yeon-aejeonseon), 한국, 1960)
<일편단심>(My Only Love (Ilpyeondansim), 한국, 1961)
<구봉서의 벼락부자>(An Upstart (Gu Bong-seo-ui Byeorakbuja), 한국, 1961)
<부부 독본>(How to Become Man and Wife (Bubudokbon), 한국, 1961)
<손오공>(sonogong, 한국, 1962)
<사춘기여 안녕>(1962)
<부라보 청춘>(Bravo, Young Ones! (Burabo Cheongchun), 한국, 1962)
<청춘교실>(The Classroom of Youth (Cheongchun Gyosil), 한국, 1963)
<굴비>(Dried Yellow Croaker Fish (Gulbi), 한국, 1963)
<혈맥>(Kinship (Hyeolmaek), 한국,1963)
<돈바람 님바람>(An Aristocrat’s Love Affair (Donbaram Nimbaram), 한국, 1963)
<후라이보이 무전여행기>(Flyboy’s Penniless Trip (Huraiboi Mujeon-yeohaenggi), 한국, 1963)
<약혼녀>(The Fiancee (Yakhonnyeo), 한국, 1963)
<내 아내가 최고야>(My Wife Is Best (Nae Anaega Choegoya), 한국, 1963)
<여자 19세>(The Girl Is Nineteen (Yeoja Sipguse), 한국, 1964)
<니가 잘나 일색이냐>(Are You Really a Beauty? (Niga Jalna Ilsaeg-inya), 한국, 1964)
<아편전쟁>(The Opium War (Apyeong Jeonjaeng), 한국, 1964)
<학생부부>(The Student Couple (Haksaeng Bubu), 한국, 1964)
<월급봉투>(The Pay Envelope (Wolgeupbongtu), 한국, 1964)
<위험한 육체>(The Dangerous Flesh (Wiheomhan Yukche), 한국, 1964)
<적자인생>(The Life in the Red Figures (Jeokjainsaeng), 한국, 1965)
<막내딸>(The Youngest Daughter (Mangnaettal), 한국, 1965)
<상속자>(The Heir (Sangsokja), 한국, 1965)
<큰 댁>(The Legal Wife (Keundaek), 한국, 1965)
<저 하늘에도 슬픔이>(Sorrow Even Up in Heaven (Jeo Haneul-edo Seulpeum-i), 한국, 1965)
<갯마을>(The Seaside Village (Gaenma-eul), 한국, 1965)
<날개부인>(Madam Wing (Nalgae Bu-in), 한국, 1965)
<학사와 기생>(haksawa gisaeng, 한국, 1966)
<유정>(Yu-jeong, 한국, 1966)
<망향>(Nostalgia (Manghyang), 한국, 1966)
<잘 있거라 일본땅>(Goodbye, Japan (Jal Itgeora Ilbonttang), 한국, 1966)
<연애탐정>(Love Detective (Yeonae Tamjeong), 한국, 1966)
<만선>(Full Ship (Manseon), 한국, 1967)
<까치소리>(Sound of Magpies (Ggachi Sori), 한국, 1967)
<애인>(Lovers, 한국, 1967)
<안개>(Mist (Angae), 한국, 1967)
<길 잃은 철새>(A lost migrant, 한국, 1967)
<고발>(Accusation (Gobal), 한국, 1967)
<빙점>(The Freezing Point (Bingjeom), 한국, 1967)
<사격장의 아이들>(Children in the Firing Range (Sagyeokjang-ui Aideul), 한국, 1967)
<산불>(Flame in the Valley (Sanbul), 한국, 1967)
<어느 여배우의 고백>(Confession of an Actress (Eoneu Yeobaeu-ui Gobaek), 한국, 1967)
<일본인>(A Japanese (Ilbon-in), 한국, 1968)
<분녀>(Bun-nyeo (Bun-nyeo), 한국, 1968)
<피해자>(A Victim (Pihaeja), 한국, 1968)
<동경특파원>(Correspondent in Tokyo (Donggyeong Teugpawon), 한국, 1968)
<맨발의 영광>(Glory of Barefoot (Maenbarui Yeonggwang), 한국, 1968)
<춘향>(chunhyang, 한국, 1968)
<순애보>(A Devoted Love (Sunaebo), 한국, 1968)
<수전지대>( Salt Pond (Sujeonjidae), 한국, 1968)
<주차장>(Parking Lot (Juchajang), 한국, 1969)
<시발점>(Starting Point (Sibaljeom), 한국, 1969)
<봄봄>(Spring, Spring (Bom Bom), 한국, 1969)
<아무리 미워도>(Rejected First Love (Amuri Mi-wodo), 한국, 1969)
<석녀>(A Barren Woman (Seongnyeo), 한국, 1969)
<추격자>(Chaser (Chugyeogja), 한국, 1969)
<저것이 서울의 하늘이다>(That is the Sky over Seoul (Jeogeos-i Seo-ul-ui haneul-ida), 한국, 1970)
<남자는 괴로워>(Agony of Man (Namjaneun goelo-wo), 한국, 1970)
<신부일기>(The Bride’s Diary (Sinbu-ilgi), 한국, 1970)
<설원의 정>(Love in the Snowfield (Seol-won-ui jeong), 한국, 1970)
<청춘무정> Mi-ae (Cheongchunmujeong), 한국, 1970)
<무영탑>(Pagoda of No Shadow (Mu-yeongtab), 한국, 1970)
<위자료>(The Alimony (Wijalyo), 한국, 1971)
<옥합을 깨뜨릴 때>(When the Jewel Box is Broken (Oghab-eul kkaetteulil ttae), 한국, 1971)
<미스 리>(miseuri, 한국, 1971)
<작은 꿈이 꽃필 때>(When a little dream blooms...(Jag-eun kkum-i kkochpil ttae), 한국, 1972)
<와와후링>(wawahuring, 홍콩, 1972)
<우중화>(ujunghwa, 홍콩, 1972)
<일요일의 손님들>(Guests on Sunday(Ilyo-il-ui sonnimdeul), 한국, 1973)
<딸부자집>(A Family with many daughters(Ttalbujajib), 한국, 1973)
<토지>(The Earth (Toji), 한국, 1974)
<본능>(The Instinct (Bonneung), 한국, 1974)
<극락조>(Bird of Paradise (Geuglagjo), 한국, 1975)
<황토>(Wasteland (Hwangto), 한국, 1975)
<내일은 진실>(Truth of Tomorrow (Nae-il-eun jinsil), 한국, 1975)
<가위, 바위, 보>(Scissors, Rock, Paper, 한국, 1976)
<내 사랑 애래나>(My Love, Elena, 한국, 1976)
<아라비아 열풍>(Hot Wind In Arabia (Alabi-a(Arabia) yeolpung), 한국, 1976)
<발가락이 닮았다>(Similar Toes (Balgalag-i dalm-assda), 한국, 1976)
<내마음의 풍차>(Windmill Of My Mind (Naema-eum-ui pungcha), 한국, 1976)
<야행>(Night Journey (Yahaeng), 한국, 1977)
<화려한 외출>(A Splendid Outing (Hwalyeohan oechul), 한국, 1977)
<여기자 20년>(Two Decades as a Woman Journalist (Yeogija 20nyeon), 한국, 1977)
<산불>(Flame in the Valley (Sanbul), 한국, 1977)
<오빠하고 누나하고>(With My Older Brother and , Sister (Oppahago nunahago), 한국, 1978, 각본)
<망령의 늪>(The Swamp of Exile (Mangmyeong-ui neup), 한국, 1978)
<화조>(Flowers and Birds (Hwajo), 한국, 1978)
<웃음소리>(Sound of Laughter (Us-eumsoli), 한국, 1978)
<여수>(The Loneliness of the Journey (Yeosu), 한국, 1978)
<사랑의 조건>(The Terms of Love (Salang-ui jogeon), 한국, 1979)
<빨주노초파남보>(Rainbow (Ppaljunochopanambo), 한국, 1979)
<달려라 만석아>(Man-suk, Run! (Dallyeola Manseok-a), 한국, 1979)
<물보라>(Water Flake (Mulbola), 한국, 1980)
<하얀 미소>(White Smile (Ha-yan miso), 한국, 1980)
<도시로 간 처녀>(The Maiden Who Went to the City (Dosilo gan cheonyeo), 한국, 1981)
<만추>(Late Autumn (Manchu), 한국, 1981)
<소림사주천귀동>(Juchon-gwidong in Shaolin Temple (Solimsa jucheongwidong), 한국, 1982, 각본)
<산동반점>(Shantung Chinese Restaurant (Sandongbanjeom), 한국, 1982, 각본)
<죽으면 살리라>(Die To Live (Jug-eumyeon sallila), 한국, 1982, 각본)
<삐에로와 국화>(The Chrysanthemum and the Clown (Ppierowa gukhwa), 한국, 1982)
<저녁에 우는 새>(Bird That Cries At Night (Jeonyeok-e wuneun sae), 한국, 1982)
<산동 여자물장수>(Gay Woman from Shantung (Sandong yeojamuljangsu), 한국, 1983, 각본)
<인사대전>(War Between Men and Snakes (Insadaejeon), 한국, 1983, 각본)
<0시의 호텔>(Hotel at 00:00 (0(yeong)si-ui hotel), 한국, 1983, 각본)
<허튼 소리>(Jung-kwang’s Nonsense (Junggwang-ui heoteunsori), 한국, 1986)
<깜동>(Gam-dong (Kkamdong), 한국, 1988, 제작)
<사랑의 묵시록>(The Apocalypse Of Love, 일본, 1995)
<빛은 내 가슴에>(bicheun nae gaseume, 한국, 1995, 각본)
<엄마에게 애인이 생겼어요>(Mom Has a New Boyfriend (Eomma-ege ae-in-i saenggyeoss-eo-yo), 한국, 1995, 제작)
<그들만의 세상>(Kill the Love(Geudeulman-ui sesang), 한국, 1996, 제작)
<투캅스 2>(Two Cops 2, 한국, 1996, 제작)
<올가미>(The Hole(Olgami), 한국, 1997, 제작)
<생과부 위자료 청구소송>(Bedroom and Courtroom (Saenggwabu wijalyo cheonggusosong), 한국, 1998, 제작)
<자귀모>(Ghost in Love (Jagwimo), 한국, 1999, 제작)
<여고괴담 두번째 이야기>(Memento Mori (Yeogogoedam dubeonjjae i-yagi), 한국, 1999, 제작)
<침향>(Scent of Love (Chimhyang), 한국, 2000)
<인터뷰>(Interview(Inteobyu(Interview)), 한국, 2000, 제작)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근현대 영화인사전 | 저자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 cp명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이 사전은 전 세계 영화인들을 대상으로 한 인명사전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작성되었다. 본 사전의 표제어는 1) 한국권 (북한 포함), 2) 영..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Daum백과] 김수용근현대 영화인사전,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