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사과재배 사과재배

토양 생산력 요인

토양관리는 사과원 관리에서 기본이 되는 작업으로 다른 작업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앞으로 사과 산업이 갈 방향인 과실 종합생산체계(IFP)에서도 필수적이다. 과수원 토양관리는 표토관리, 시비관리, 물 관리 및 토양개량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들은 각각의 독립적인 영역을 갖는 것이 아니라 서로가 연관되어 있으므로 종합적으로 생각하도록 한다.

사과나무의 토양적응성은 <표 5-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조에 약하고 습해는 중간 정도인 작물이나, 최근에 심겨지는 M.9는 더욱 약하다. 사과원의 생산력은 사과나무의 생육상태와 수량에 따라 평가되는데, 토양 반응은 미산성 또는 중성으로 사양토가 적합하다. 최근에는 과실의 품질을 더욱 중요하게 여기므로 관련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량은 물론 품질향상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토양조건 토심 토양반응 내건성 내습성 비료감응도
유기물이 풍부한
양토~사양토
깊어야 함
(60cm)
미산성, 중성
(pH 6.0~6.5)
질소에 민감
표 5-1 사과나무의 토양 적응성

물리적 요인

사과나무는 심근성으로 뿌리가 주로 깊게 분포하고 있어 생육은 전 토층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따라서 유효토심(뿌리가 비교적 용이하게 신장할 수 있는 토층의 깊이)에 따라 나무의 생장과 결실력이 결정된다.

사과나무의 생산력과 가는 뿌리가 발달하는 토층의 깊이와의 관계를 보면 가는 뿌리가 발달하는 토층의 깊이가 깊을수록 과실의 수량이 안정되고 높은 수량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표 5-2>. 가는 뿌리가 신장하는 토양구조에 관계되는 토양의 물리적 요인은 토양의 삼상분포(三相分布), 토양의 굳기(硬度, 緻密度), 투수성(透水性), 공극률 등이 있다.

(단위 :g k/주)
구분 뿌리직경(cm)
0.20 이하 0.21 이상
우량주
불량주
1.3
1.1
6.8
8.3
표 5-2 우량 및 불량주의 뿌리 직경별 건물중

삼상분포는 고상(固相), 액상(液相), 기상(氣相)의 구성비율로 사과재배에 적당한 비율은 고상 40~50%, 액상 20~40%, 기상 15~37%이다. 토양의 굳기(硬度)는 뿌리의 신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산중식 경도계로 24mm 이하가 되어야 뿌리가 자랄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29mm 이상이 되면 전혀 생장하지 못한다. 투수성은 투수계수 2.7mm/시간을 표준으로 하고 있다.

화학적 요인

사과나무의 생장이나 과실의 생산에 영향을 주는 화학적 요인은 염기치환용량(C.E.C), 양분 함량, 염기포화도, 산도(酸度) 등이 있다. 토양의 산도(pH)가 낮을수록 즉, 산성이 강할수록 양분의 유효도가 떨어지고 철, 망간 등의 미량원소가 과다하게 침출되어 사과나무 생육과 수량이 감소하게 된다.

토양의 보비력은 보통의 시비조건에서는 사과나무의 생장에 직접적인 영향은 적지만 간접적인 영향으로써 농도장해 발생의 난이, 질소의 비효발현(肥效發現)의 빠름과 늦음, 비료분 유실의 난이 등이 나타난다. 대체로 보비력이 적은 토양은 모래 함량이 많고 유기물 함량이 적은 토양이며, 보비력이 큰 토양은 점토 함량과 유기물 함량이 많은 토양이다.

양분이 많고 적음에 대해서는 뿌리가 양분을 흡수하는 장소(위치)와 관계가 깊지만, 가는 뿌리가 분포하는 지하 30cm까지는 시비를 포함한 토양관리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질소, 인산, 칼리 등의 주성분에 대해서는 거의 문제가 없고, 칼리와 칼슘 그리고 마그네슘의 양적 균형이 문제가 된다. 또한 붕소와 같은 미량요소도 충분히 존재하여야 한다.

<그림 5-1>은 품질이 좋은 사과가 생산될 수 있는 토양 단면의 예로서, 상부 30cm 정도는 양토로 유기물 함량이 많고 구조가 발달되어 있으며, 하층은 모래나 자갈이 많아 배수가 잘된다.

<그림 5-1> 좋은 사과가 생산되는 사과원의 토층 단면

ⓒ 농촌진흥청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본 내용은 농촌진흥청의 저작물로 공공누리유형의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http://lib.rda.go.kr)에서 농업기술길잡이를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토양 생산력 요인사과재배, 농촌진흥청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