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국립생물자원
관 생물다양
성정보

눈개승마

다른 표기 언어 goat’s-beard 동의어 삼나물, 죽토자, 눈산승마, 고기나물, 삐뚝바리, 찔뚝바리
요약 테이블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장미과 > 개승마속
서식지 산지의 침엽수와 활엽수가 섞여 있는 숲 속
학명 Aruncus dioicus (Walter) Fernald var. kamtschaticus (Maxim.) H. Hara
국내분포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해외분포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동북부
눈개승마

ⓒ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SPECIES KOREA)

개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산 숲 속에 비교적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세계적으로는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동북부에 분포한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80-300cm다. 잎은 어긋나며, 2회 또는 3회 깃꼴겹잎, 노루오줌의 잎과 비슷하다. 작은 잎은 좁은 난형,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윤기가 있고, 뒷면은 드물게 털이 있다. 꽃은 5-7월에 암수딴포기로 피며, 줄기 끝에 원추꽃차례를 이루어 달리고, 노란빛이 도는 흰색이다. 수꽃은 암꽃보다 조금 크다. 꽃잎은 5장, 주걱 모양, 꽃받침보다 길다. 수술은 20개쯤이며, 꽃잎보다 훨씬 길다. 암꽃은 곧추서며, 씨방이 3개다. 열매는 골돌이며, 긴 타원형, 밑을 향한다. 울릉도에서는 삼나물이라 하며 나물로 재배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80-300cm다. 잎은 어긋나며, 2회 또는 3회 깃꼴겹잎, 노루오줌의 잎과 비슷하다. 작은 잎은 좁은 난형, 길이 3-10cm, 폭 1-6cm,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윤기가 있고, 뒷면은 드물게 털이 있다. 꽃은 암수딴포기로 피며, 줄기 끝에 길이 10-30cm의 원추꽃차례를 이루어 달리고, 노란빛이 도는 흰색이다. 꽃차례의 가지는 길이 10cm쯤이다. 수꽃은 암꽃보다 조금 크다. 꽃잎은 5장, 주걱 모양, 꽃받침보다 길다. 수술은 20개쯤이며, 꽃잎보다 훨씬 길다. 암꽃은 곧추서며, 씨방이 3개다. 열매는 골돌이며, 긴 타원형, 밑을 향한다. 울릉도에서는 삼나물이라 하며 나물로 재배한다.

생태

꽃은 5-7월에 핀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산 숲 속에 비교적 드물게 자란다.

이용

잎과 줄기는 식용한다.

해설

울릉도에서 삼나물이라 불리며 새싹을 식용하므로 재배한다(Chung et al. 2010). 북아메리카 지역에서는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한라개승마(A. aethusifolius (H. Lév.) Nakai)에 비해서 키가 크며, 작은 잎은 깃 모양으로 잘게 갈라지지 않으므로 구분된다.
본 분류군은 Maximowicz에 의해서 Aruncus sylvester의 변종으로 기재되었다가, Hara(1955)에 의해서 Aruncus diocus의 변종으로 처리되었다. Flora of China(2003)은 본 분류군을 Aruncus sylvester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Aruncus sylvesterAruncus diocus를 동일한 분류군으로 처리할 때에는 Aruncus diocus이 선취권이 있어 이 이름이 정명이다.

눈개승마

ⓒ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SPECIES KOREA)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오상훈)

출처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반도가 품고 있는 생물자원에 관한 모든 것을 보여드립니다.

TOP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더보기 19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눈개승마
다른 백과사전

장미과 식물

추천항목


[Daum백과] 눈개승마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국립생물자원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