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과학향기

친근할수록 하품 옮는다?!

다른 표기 언어

하품은 졸릴 때나 피곤할 때도 하고 산소가 부족할 때도 하품을 한다. 옆 사람이 하품을 하고 있으면 나도 하품을 할 때가 많다. 왜 이럴까.

가족이나 친구가 하품을 하면 나도 하품이 한다. 하품은 가까운 사이일수록 전염이 잘 된다고 한다. 미국의 메릴랜드대학교 심리학과 보러트 프로빈 교수는 이를 감정이입 이론이라고 설명했다. 감정적 유대가 크기 때문에 하품이 전염될 확률이 높은 것이다.

또 하품은 졸릴 때만 하는 것이 아니다. 하품은 뇌를 식히기 역할도 한다. 하품을 하면서 입을 크게 벌렸다가 닫는 것은 코 옆의 동굴을 팽창하고 수축시킨다. 그 과정에서 뇌에 공기를 불어 넣는 것이다.

드물지만 과도한 하품은 심장에 문제가 있는 경우도 있다. 심장에 생긴 문제가 미주신경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하품

ⓒ asbl3x30/Pixabay | Public Domain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2016-07-25

출처

과학향기
과학향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생활 속의 크고 작은 궁금증에 대한 대답을 과학에서 찾아 알기 쉽게 설명한다. 생활 속에 과학의 향기가 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친근할수록 하품 잘 옮는다?!과학향기, 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