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1990년 6월 1일 : 한국 인터넷시대 개막
서울 홍릉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전자계산소 빌딩에서 국내 네트워크가 인터넷에 직접 연결돼 국제사회에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국제전화를 이용하는 이메일은 비용이 너무 비싸 KAIST와 한국통신을 중심으로 약 1억 5천만 원을 각출, 해외 인터넷에 직접 접속하는 HANA망 구축 프로젝트를 계획해 비로소 한국 현대사의 한 획을 긋게 되었다.
1933년 6월 10일 : 종합과학잡지 『과학조선(科學朝鮮)』 창간
한국과학대중화의 선구자 김용관(金容瓘, 1897.3.21~1967.9.24)이 1933년 6월호를 시작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종합과학잡지 『과학조선』을 창간했다. 민족각성이라는 목표 아래 만들어진『과학조선』은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10여 년 동안 명맥을 유지하다가 1944년 1월 종간되었다.
1942년 6월 18일 : 미국의 원폭제조계획(맨해튼계획) 시작
미국 육군기술본부가 이날 원자폭탄 제조를 위한 연구실, 실험실, 제조시설 설치를 결정했다. 맨해튼계획이 실시되기 이전의 연구계획은 39년 미국 과학자들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처음에는 대용품개발연구소(DSM)로 명명되었다. 8월13일에 맨해튼 공병단(암호명)으로 개칭-발족되면서부터 미국 원폭개발계획은 맨해튼계획이라 불려졌다.
1675년 6월 22일 : 그리니치 천문대 건설 허가
영국 천문학자 플램스티드(John Flamsteed, 1646.8.19~1719.12.31)가 천문 항해술 개발을 위해 찰스 1세에게 건의했던 그리니치 천문대(Greenwich observatory) 건설을 허가 받았다. 플램스티드는 같은 해 런던의 교외 그리니치에 설립된 그리니치 천문대의 초대 대장을 맡았다.
1973년 6월 23일 : 대덕연구단지 착공
과학기술의 육성과 산업의 발전을 위해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조성한 대덕 연구 단지가 착공되었다. 대덕연구단지는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 국내 최대 규모의 과학기술 집적단지로 성장했고, 공업단지와 연계시켜 첨단산업의 입지기반을 다졌다. 현재 대다수의 연구기관들과 연구소들이 모여 있는 국가연구기관의 메카로 불린다.
1909년 6월 26일 : 매독 치료약 개발
독일의 세균학자 폴 엘리히가 매독의 병원체인 스피로헤타에 대한 치료약을 개발했다. 이 약은 근대의학에 화학요법을 접목시킨 최초의 성공사례로 치료약이 개발된 당시, 매독은 파리에서만 연 3천명 이상이 사망할 정도였다. 1910년 이 약은 1만 명의 매독환자를 치료했고 엘리히는 이 약을 살바르산(Salvarsan)으로 명명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2008-06-02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역사 속 6월 과학사엔 어떤 일이 – 과학향기, 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