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디지털 전환과 관련해 대다수 전문가들은 클라우드기술이 핵심 비즈니스 가능자로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가로 DevOps라 불리우는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운영을 혼합시킨 개발방법론 그리고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와 자동화가 그 뒤를 이을 것으로 보고 있는데, 이들은 음성인식에 대해서는 언급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음성인식이 디지털 전환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음성인식은 비즈니스에 있어 다소 저조한 명성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미 10년 전부터 수행가능한 문서를 만들어내기 위해서 다수의 시간에 걸친 훈련이 필요한 소프트웨어들이 존재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당시의 기술력으로는 마이크를 통해 다양한 잡음과 소음이 유입되어 잘못된 소리를 인지하는 사례가 다양했었다.
하지만 오늘날 음성인식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화기나 컴퓨터는 물론이고 Amazon社의 Alexa와 같은 스마트 스피커에도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다 하겠다. 이러한 도입의 배경에는 딥러닝이라 불리우는 심층학습 인공지능 프로그램의 영향이 매우 컸으며, 이러한 기술로 인해 서비스 품질 또한 매우 높아질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볼 수 있겠다. 즉 기기학습은 인공지능의 하위 개념으로도 볼 수 있다는 뜻이다.
Dragon Communication software社의 개발자인 Nuance씨는 자신들이 개발한 초기 버전의 음성인식기술은 프로그램을 훈련시키기 위해 문장을 단락 단위로 읽었던 한계에서 벗어나 현재는 단일 문장을 읽으면서도 소프트웨어가 환경에 방해가 되는 소리들을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와 대화하는 방법을 학습하게 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Computinge社의 연구에 의하면 디지털로의 전환은 실제 법률 및 금융과 같은 규제된 산업군에서 임직원이 완수해야 할 문서작업의 양을 증가시킨 것으로 확인되기도 하였는데, 임직원들이 행복을 추구하기 위한 고객을 창출하고 (49퍼센트), 보다 건전한 이윤을 개발하는 것 처럼 비즈니스 업체들이 이러한 의존성을 낮출 수 있다면 직원들 또한 다양한 활동들에 전념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높은 생산성을 기록하게 될 수 있을 여지도 나타났다고 한다.
결국 비즈니스에 보다 많은 가치를 제공하는 업무에서 보다 많은 시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기회비용을 추가해 나가야 할 것으로 예상되며, 개개인의 업무효율성에 집중하는 것이 아닌 각각의 개인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하여 기업의 이윤에 중대한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낼 수 있어야 할 시기가 도래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2019-06-12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디지털 전환에 음성인식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인가? – 과학향기, 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