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버섯사전

유방꼭지외대버섯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테이블
분류 외대버섯과(RHODOPHYLLACEAE) > 외대버섯속(Entoloma(=Rhodophyllus))
서식지 활엽수의 땅
학명 Entoloma mammillatum
발생시기 여름
군락형태 군생.

균모의 지름은 1.0-2.5㎝이며 처음은 고깔형에서 차차 종 모양으로 되나 가운데는 젖꼭지 모양이다. 회갈색이며 가운데는 검은색이다. 표면은 건조하면 약간 광택이 있고 습기가 있을 때 줄무늬가 가장자리에서 가운데까지 발달한다. 육질은 얇고 백색이며 쓴맛이 나며 냄새는 거의 없다. 주름살은 처음은 백색이나 차차 분홍색 또는 분홍갈색으로 된다. 올린 주름살이고 칼 모양이다. 주름살의 폭은 넓고, 간격은 보통이다. 주름살의 가장자리는 약간 물결 형이고 색깔은 옆면의 색깔과 같다. 자루의 길이는 1.5-4.0㎝이고 폭은 1.5-2.0㎜로 균모와 같은 색깔이나 검은색이다. 표면은 매끈하며 가끔 세로줄이 있고 기부에 하얀 균사가 부착한다. 자루의 속은 비어 있고 표면과 같은 색깔이다. 포자의 크기는 9.0(-8.5)-11(-12)×7.0(-6.0)-8.0㎛이고 대부분 5각 또는 6각형이며 전체적인 모양은 타원형 또는 결절형이다. 각은 무디고 1-2개의 기름방울을 함유하는 것도 있다. 담자기는 35-45×10-12.5㎛이고 곤봉형이며 부속물을 갖고 있는 것도 있다. 경자는 대부분 2개가 나타나며 3-4개가 나타나는 것은 드물다. 자실층은 잘 발달되고 균사조직은 평행하다. 균모표면의 균사는 7.5-112.5×7.5-10㎛이고 고르지 못한 원통형이다. 자루의 균사는 부푼 것이 37.5-90×10-12.5㎜이고 가느다란 것은 40-67.5×5.0-7.5㎛이며 꺽쇄가 가끔 나타난다. 발생은 여름에 활엽수의 흙에 군생한다. 분포는 한국에는 지리산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한다. 참고로 이 종은 E. pallidceps(한국에 아직 보고가 안 된 종)와 유사하다. 그러나 유방꼭지버섯은 쓴맛을 가지고 있어서 E. pallidceps와 쉽게 구분이 된다.

유방꼭지외대버섯

ⓒ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버섯사전
버섯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산 버섯DB 1문, 7강, 80과, 197속, 1500종(북한버섯포함) 이상의 한국산 버섯 데이터베이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균류

균류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2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유방꼭지외대버섯

버섯 종류

추천항목


[Daum백과] 유방꼭지외대버섯버섯사전, 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