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과학향기

뚝배기에 요리하면 정말 맛이 좋을까?

자기 그릇으로 조리한 음식은 금속 냄비로 요리한 음식에 비해 맛이 깊고 진한 맛을 낸다고 한다. 과연 정말 그럴까? 자기그릇은 천연광물이 대량 포함된 흙을 섭씨 1000도 이상의 고온에서 구워 만들어진다. 때문에 과학적으로 볼 때 내열성과 보온성이 우수하며 원적외선 방사량도 많다. 음식 맛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원적외선 방사량이다. 이것이 많이 방사되면 음식을 조리할 때 태우지 않으면서도 재료에 열을 균일하게 전달해 재료 고유의 맛과 영양을 제대로 보존할 수 있다. 결국 찌개나 매운탕, 전골과 같이 특별히 온도 유지가 필요하거나 진한 국물이 생명인 음식 조리에는 자기그릇이 적합하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원적외선 파장은 국물을 구성하고 있는 각 성분 분자의 진동과 합쳐서 공명(共鳴)하고, 나아가 공진(共振)운동을 일으킨다. 공진운동은 음식 속까지 고루 익히는 작용을 한다. 원적외선은 또 찌개 국물과 같은 유기화합물 분자에 대해 수화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수화성이 높다는 의미는 물의 분자와 국물을 구성하는 각종 성분의 분자가 짧은 시간 내에 고루 잘 섞인다는 것을 뜻한다. 이런 이유로 원적외선이 많이 방출되는 자기 그릇으로 음식을 조리하면 국물 맛과 물맛이 겉돌지 않고 깊으면서도 진한 맛을 내게 된다.

뚝배기 요리

ⓒ 클립아트코리아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클립아트코리아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2004-11-10

출처

과학향기
과학향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생활 속의 크고 작은 궁금증에 대한 대답을 과학에서 찾아 알기 쉽게 설명한다. 생활 속에 과학의 향기가 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과학 일반

과학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뚝배기에 요리하면 정말 맛이 좋을까?과학향기, 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