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축종 | 개, 고양이 |
---|
요약 중증 근무력증은 신경근육계 전달의 기능 장애로 유발됨. 발작적 무력증은 운동으로 유발되고, neostigmine이나 edrophonium chloride 처치 시 회복됨. 거대식도증, 성인발병형 특발 거대식도증이 선천적 중증 근무력증의 국소적 형태로 추정됨. 근무력증은 선천적이고 후기 발병 형태 모두 관찰됨. 일부의 견종에서는 유전적 질병으로 관찰됨. 고양이에서는 드묾. Abyssinians에서 나타남. 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의 증가로 진단됨.
주요 증상
과도한 침흘림, 유연, 입에 거품
구역질
구토
근육긴장저하
기립불능, 다우너
기침
다호흡, 빠른호흡(빈호흡), 과호흡
뒷다리 반사이상 (증가나 감소)
뒷다리 양쪽 부전마비, 무기력, 마비
뒷다리 파행, 경직, 절름발이
떨림, 전율, 오한
머리, 얼굴, 귀, 턱, 무기력, 처짐, 부전마비, 마비
목 무기력, 부전마비, 마비, 목을 못가눔
목소리 변성
무기력, 침울, 졸림, 생기없음
발열, 고열
방광 종대, 확장
비정상의 폐포음, 흉강음, 랏셀음, 염발음, 천명음, 마찰음
비정상적인 자세
빈맥, 빠른 맥박, 심박
사시, 사팔뜨기
상부 기도의 비정상 호흡음, 코고는 소리
수척, 건강상태 불량, 증체율 불량
식욕부진, 식욕감소, 식욕절폐, 젖을 안먹임, 먹이 공급 중단
안검하수
앞다리 반사이상 (증가나 감소)
앞다리 파행, 경직, 절름발이
연하곤란, 연하장애
요실금
운동기피, 쉽게 지침
운동실조, 협조불능, 절뚝거림, 넘어짐
위협반사반응에 무반응 또는 감소, 실명은 아님
이동거부
저작곤란, 잘 씹지 못함
전신파행, 경직, 절름발이
전신허약, 부전마비, 마비
제3안검 탈출, 순막의 돌출
진전
체중감소
탈수
호흡곤란, 개구호흡, 그르렁거림, 가쁜호흡
호흡시 이상한 냄새, 구강의 악취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질병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