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정상인 경우 각 눈에서 들어오는 상은 뇌에서 융상(두 눈으로 동일 대상을 보고 생긴 2개의 상을 하나로 융합하는 것)됨으로써 하나의 상으로 인식되기 마련이다. 망막의 각 지점은 반대편 눈에 대응점을 갖는데, 만일 한쪽 눈의 외안근이 마비되면 사물의 상이 대응점이 아닌 다른 점에 맺혀 양 눈의 상이 일치하지 않게 된다. 복시는 보툴리즘의 첫번째 증상으로 일어날 수 있고 감염이나 두부손상, 신경마비, 또는 근육장애로 인해 나타날 수도 있다. 중증근무력증이 복시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안구근육 질환이며, 그 첫 증상으로 복시가 나타날 수 있는데 나중에는 다른 근육에도 영향을 미친다. 양성안구근육무력증일 때도 복시가 나타나는데, 이는 중증근무력증과는 달리 다른 근육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정상적으로 각 눈에서 들어오는 조금씩 다른 상(像)이 뇌에서 융상(融像:두 눈으로 동일 대상을 보고 생긴 2개의 상을 하나로 융합하는 것)됨으로써 양쪽 눈에서 오는 시각이 하나의 상으로 인식된다. 망막의 각 지점들은 반대편 눈에 대응점을 갖는데, 만일 한쪽 눈의 외안근(外眼筋)이 마비되면 사물의 상이 대응점이 아닌 다른 점에 맺혀서 양 눈의 상이 일치하지 않게 된다. 또한 어떤 근육이 마비되었는가에 따라 2중상(二重像)의 방향이 달라진다.
바로 가까이에 있는 사물은 교차된 상으로 나타나는데, 즉 왼쪽 눈에서 받은 상이 오른쪽 눈으로부터 받은 상의 오른쪽에 생긴다. 멀리 있는 상도 2중으로 보이기는 하나 양쪽 눈의 관계가 적절한 상태로 상이 맺힌다. 일반적으로 마비된 눈에서 오는 상은 초점을 맞추기가 어려우므로 정상적인 눈에서 오는 상보다 뚜렷하지 못하다. 한쪽 눈 위에 색깔이 있는 필터를 대보면 2개의 상을 구별할 수 있다. 복시는 보툴리즘의 첫번째 증상으로 일어날 수가 있고 감염이나 두부 손상, 신경마비, 또는 근육장애로 인해 나타날 수도 있다.
중증근무력증(重症筋無力症)이 복시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안구근육 질환이며, 그 첫번째 증상으로 복시가 나타날 수 있다. 나중에는 다른 근육에도 영향을 미친다. 양성안구근육무력증일 때도 복시가 나타나는데, 이는 중증근무력증과는 달리 다른 근육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보튤리즘).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