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익생양술대전

패랭이꽃

다른 표기 언어 동의어 석죽화, 石竹花, 남천축초, 南天竺草, 꽃패랭이, 참대풀이, 지여죽, 枝如竹
요약 테이블
학명 Dianthus sinensis
분포지역 전국 각지
자생지역 산기슭의 풀밭, 냇가의 모래땅
번식 씨·분주·꺾꽃이
약효 부위 꽃·씨·잎
생약명 구맥(瞿麥)
30cm 정도
석죽과
생활사 여러해살이풀
채취기간 가을(입추 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차며, 쓰다.
독성여부 없다.
1회 사용량 잎· 꽃 3∼8g, 씨 4∼6g
주의사항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솔패랭이풀

마디마다 2장씩 마주나는데 밑 부분이 서로 합쳐져서 통처럼 되어 원줄기를 둘러싼다. 잎몸은 선형 또는 댓잎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없다.

6∼8월에 분홍색 꽃이 줄기 위쪽에서 약간 갈라진 가지 끝에 1개씩 달려 핀다. 꽃받침은 원통형이며 5개로 갈라지는데 그 밑에 있는 작은 꽃턱잎은 4개이며 꽃받침통과 길이가 같거나 절반 정도이다. 꽃잎은 5개이고 수평으로 퍼지는데 끝이 술처럼 잘게 갈라지며 둥근 고리 무늬와 긴 털이 있다. 수술은 10개이고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

9∼10월에 원통 모양의 삭과를 맺는데 꽃받침에 싸여 있다. 열매가 익으면 4개로 갈라져 속에서 흑갈색의 씨가 나온다.

특징 및 사용 방법

구맥·석죽(石竹)·석죽화(石竹花)·천국(天菊)·거구맥(巨句麥)·남천축초(南天竺草)·죽절초(竹節草)·대란(大蘭)·산구맥(山瞿麥)·지여죽(枝如竹)·꽃패랭이·참대풀이라고도 한다. 꽃의 모양이 옛날 민초들이 쓰던 모자인 패랭이를 닮아서 패랭이꽃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돌 틈에서 싹을 틔우는 대나무란 뜻의 석죽(石竹)이라 불릴 정도로 생명력이 강하다. 전체적으로 분록색이 돈다. 줄기는 밑에서 빽빽이 모여나와 곧게 서서 자라는데 마디가 많고 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패랭이는 많은 원예 품종이 있으며 그중에서 일년 내내 꽃이 피는 품종을 사철패랭이라 한다. 관상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서양에서는 패랭이꽃을 넣어 샐러드를 만들기도 한다. 꽃을 구맥, 씨를 구맥자(瞿麥子)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임신부가 씨를 복용하면 유산의 위험이 따르므로 주의해야 한다.

효능

주로 비뇨기·피부과·순환계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나력(나력루), 낙태, 난산, 누낭염, 누안, 대변불통, 명목, 목적동통, 방광염, 배농, 배뇨통, 번열, 보신·보익, 소변불통, 소염제, 수종, 습비, 습열, 신경쇠약, 안질, 어혈, 옹종, 요도염, 월경불통, 유정증, 윤장, 음창, 음축, 이뇨, 이질, 인후염·인후통, 임질, 창종, 치질, 타박상, 통경, 풍치, 피임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권혁세 집필자 소개

출처

익생양술대전
익생양술대전 | 저자권혁세 | cp명학술편수관 전체항목 도서 소개

1000여 종에 이르는 약초의 약리학적 지식정보를 명쾌하게 소개하는 본초학 도감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패랭이꽃


[Daum백과] 패랭이꽃익생양술대전, 권혁세, 학술편수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