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익생양술대전

치자나무

다른 표기 언어 梔子나무 동의어 지자(芝子), 선자(鮮子)
요약 테이블
분류 상록 활엽 관목
학명 Gardenia jasminoides for. grandiflora
분포지역 경기도 이남
자생지역 밭에 재배
번식 꺾꽂이
약효 부위 열매·잎
생약명 치자(梔子)
1~2m
꼭두서닛과
채취기간 10월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차며, 쓰다.
독성여부 없다.
1회 사용량 열매·잎 4~10g
주의사항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꽃치자

마주나거나 3개의 잎이 돌려나는데 길이 3~10cm의 긴 타원형 또는 거꾸로 된 넓은 댓잎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뾰족하다.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에 윤기가 있다.

6~7월에 흰색으로 피지만 지기 직전에 노란색으로 변하여 잎겨드랑이나 가지 끝에 한 송이씩 달려 있다. 향기가 달콤하다. 꽃받침은 끝이 6~7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가늘고 길다. 꽃부리도 6~7개로 갈라지는데 질이 두껍다. 수술도 6~7개이다. 꽃봉오리 때는 꽃잎이 비틀려서 덮여 있다.

열매

꽃받침과 더불어 길이 3.5cm 정도인 긴 타원형의 열매가 황홍색으로 9월에 익는다. 세로로 6~7개의 모가 나 있고 위에 꽃받침이 남아 있으며 익어도 갈라지지 않는다. 열매 속에 황색의 과육과 더불어 씨가 들어 있다.

치자나무 열매

ⓒ 학술편수관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특징 및 사용 방법

작은 가지에는 어릴 때 먼지 같은 잔털이 나 있다. 관상용·약용으로 이용된다. 꽃에서 좋은 향기가 나고 열매에는 해가 없으므로 식품 착색료로도 쓴다. 생열매를 산치자(山梔子), 말린 열매를 치자, 잎을 치자엽(梔子葉)이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효능

주로 순환계 질환 및 외상·부종에 효험이 있다.

관련질병: 각혈, 간염, 감기, 강장보호, 갱년기장애, 골절증, 구내염, 노이로제, 담, 담즙분비, 당뇨병, 무좀, 복통, 불면증, 비뉵혈, 사하, 소염제, 심복통, 십이지장궤양, 안질, 어혈, 오지, 위경련, 위장염, 은진, 적백리, 좌섬, 진정, 진통, 척추질환(추간판헤르니아), 청혈, 출혈, 타박상, 토혈, 트라코마, 편도선염, 해열, 행혈, 황달, 흉통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권혁세 집필자 소개

출처

익생양술대전
익생양술대전 | 저자권혁세 | cp명학술편수관 전체항목 도서 소개

1000여 종에 이르는 약초의 약리학적 지식정보를 명쾌하게 소개하는 본초학 도감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13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치자나무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치자나무익생양술대전, 권혁세, 학술편수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