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익생양술대전

복령

다른 표기 언어 茯苓 동의어 송령(松苓), 복토(茯菟), 운령(云苓)
요약 테이블
분류 버섯류
학명 Poria cocos
분포지역 전국 각지
자생지역 벌목 후 3~4년 지난 소나무 뿌리
번식 균사
약효 부위 균괴(菌塊=菌核)
생약명 복령(茯笭)
10~30cm
구멍장이버섯과
채취기간 가을~이듬해 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평온하며 담백하고 달다.
독성여부 없다.
1회 사용량 8~15g
주의사항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특징 및 사용 방법

솔풍령이라고도 한다.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균체(菌體)로서 혹처럼 크게 자라는데, 소나무 그루터기 주변을 쇠꼬챙이로 찔러서 찾아낸다. 약으로 쓰기 위해 재배도 한다. 균체가 성장한 덩어리인 균핵(균괴)은 땅 밑에서 소나무 뿌리와 엉켜 있는데, 크기와 형태는 일정하지 않으나 대개 10~30cm 정도의 공 모양 또는 타원형이며 무게는 흔히 1kg 정도에 달하나 50g에서 10kg까지 다양하다. 표면은 적갈색 또는 흑갈색이고 꺼칠꺼칠한 편이며 종종 껍질[根皮]이 터져 있는 것도 있다. 육질의 과립상인 살은 신선한 냄새가 감도는데 흰색에서 엷은 홍색으로 변하며 방사상으로 균열이 생긴다.

빛깔이 흰색인 것을 백복령(白茯苓), 적색인 것을 적복령(赤茯苓)이라 하고 또 복령 속을 소나무 뿌리가 꿰뚫고 있는 것, 즉 소나무 뿌리를 내부에 감싸고 자란 것을 복신(茯神)이라 하며 복령의 껍질을 복령피라 하는데 모두 약으로 쓴다. 복신을 관통한 소나무 뿌리를 복신목(茯神木)이라 하는데 이 소나무 뿌리가 살아 있는 복신을 우량으로 친다. 백복령은 적송(赤松)의 뿌리에 기생하고 적복령은 곰솔[海松]의 뿌리에 기생한다.

벌목한 지 3~4년 지난 소나무 뿌리에서 채취하여 물에 담근 다음 부드러워졌을 때에 알맞게 잘라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건재약상에서 살 때는 1년 미만 된 것을 고른다. 약으로 쓸 때는 산제 또는 환제로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복용 중에 뽕나무·오이풀·자라·진범·인삼을 금한다.

효능

주로 심경을 다스리며, 부인병증에도 효험이 있다.

관련질병: 간기능회복, 강심제, 강장보호, 강정제, 건망증, 건비위, 건위, 경련, 고혈압, 구토, 금창, 기미·주근깨(주근깨), 냉병, 당뇨병, 두통, 변비, 복통, 부인병, 불면증, 비만증, 소갈증, 심기불녕, 심장병, 심장판막증, 안태, 어혈, 우울증, 위내정수, 위산과다증, 위장염, 유정증, 주비, 중독, 진정, 췌장염, 피로곤비, 피부미용(피부미백), 햇볕에 탄 데, 해열, 행혈, 허약체질, 현훈증
소아질환: 경풍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권혁세 집필자 소개

출처

익생양술대전
익생양술대전 | 저자권혁세 | cp명학술편수관 전체항목 도서 소개

1000여 종에 이르는 약초의 약리학적 지식정보를 명쾌하게 소개하는 본초학 도감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균류

균류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3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복령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복령익생양술대전, 권혁세, 학술편수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