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특정 사용자(기업이나 조직)가 원하는 자원을 독점 사용하고 관리,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클라우드 배포 모델.
컴퓨팅 환경을 누가 운영하고 어떻게 이용하는가의 배포 모델에 따라 클라우드 컴퓨팅을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 프라이빗 클라우드(private cloud)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누구든지 이용할 수 있는 아마존, 구글 등의 퍼블릭 클라우드와 대조적인 개념이다. 개별 기업이나 조직 등이 자신들만을 위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형태를 말한다.
예를 들어, 특정 대기업이나 정부와 같은 공공기관이 외부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을 구축하고 내부 사용자나 기관이 이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의 독립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특정 기업이나 조직을 위해 별도로 클라우드 컴퓨팅을 구축해 줄 수도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TTA는 정보통신 기술 발전과 타분야와의 기술 융합에 따라 무수히 생성되는 정보통신용어를 해설하고 표준화하여,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이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펼쳐보기
컴퓨터/정보통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프라이빗 클라우드 – TTA정보통신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