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ICT 시사
상식 202
3

디지털 치료제

다른 표기 언어 Digital Therapeutics 동의어 DTx

요약 치료 목적으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SW) 의료기기

국제 비영리 단체인 디지털치료제협회(Digital Therapeutics Alliance)는 ‘질병을 예방 ・ 관리 ・ 치료하기 위해 환자에게 근거 기반의 치료제 개입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의료기기’로 정의했다.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의 정의도 거의 유사하다. 다만 식약처는 2020년 8월에 발간한 ‘디지털 치료기기 허가 ・ 심사 가이드라인’에서 디지털 치료제라는 용어 대신 의료기기임을 강조하였고, ‘디지털 치료기기’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디지털 치료제(DTx : Digital Therapeutics)는 영상 ・ 소리 등 일련의 디지털 자극으로 환자의 행동이나 생활 양식을 바꾸고, 그 결과로 얻은 데이터를 수집 ・ 분석한다. 단독 사용보다 의약품 ・ 의료기기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모바일 앱(App), 가상현실(VR), 챗봇(chatbot), 인공지능(AI) 등이 주로 활용된다.

디지털 치료제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2017년 9월에 ‘페어 테라퓨틱스(Pear Therapeutics)’의 약물중독 치료 의료용 모바일 앱 ‘리셋(reSET)’을 맨 처음 허가하면서 등장했다. 399명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 대조임상시험 결과 리셋을 병행했을 때 약물중독 치료 효과는 16.1%로 대조군에 비해 5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2017년 이후 디지털 치료제 특허 출원 및 임상 건수가 지속적으로 상승, 산업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 ・ 통계 기관 스타티스타는 디지털 치료제 시장이 2016년 16억 7,000만 달러에서 2025년 89억 4,00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 디지털 치료제 기업 빅씽크테라퓨틱스 연구원이 강박장애(OCD) 디지털 치료제 오씨프리에 대한 FDA 임상 전략회의를 하고 있다.

ⓒ 출처=전자신문DB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본 자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정보통신진흥기금으로 시행한 정보통신방송표준 개발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발간된 자료로 무단 복제를 금하며, 내용을 인용할 시에는 반드시 정보통신방송표준 개발지원사업의 결과임을 밝히고 사용해야 합니다.

출처

ICT 시사상식 2023
ICT 시사상식 2023 전체항목 도서 소개

《최신 ICT 시사상식 2023》은 복잡한 ICT 용어개념을 쉽게 설명하고, 다양하게 사용되는 의미의 기준을 정립하고자 했습니다. 최근 2년간 언론과 산업계, 일상생활..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컴퓨터/정보통신

컴퓨터/정보통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디지털 치료제ICT 시사상식 2023,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