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99%의 롤
모델

1만 2,000여 명의 목숨을 앗아간 런던 스모그

1952년 12월 4일 영국 런던. 쾌청하던 날씨가 정오쯤 짙은 안개로 바뀌었다. 따뜻한 바람도 멈추고 기온이 떨어졌다. 날이 저물어 냉기가 퍼지자 각 가정에서는 석탄을 마구 땠다. 런던 시민들은 밤새 콜록거렸다.

하루가 지난 12월 5일, 도시가 스모그에 덮였다. 굴뚝 수십만 개가 내뿜는 연기와 아황산가스가 대기로 빠져나가지 못한 채 안개와 뒤섞여버렸기 때문이다. 한 치 앞을 분간할 수 없는 스모그에 보행자의 통행조차 어려웠다. 차량들은 대낮에도 전조등을 켰다. 런던 외곽으로 퍼진 스모그 때문에 교외 역에서 열차 충돌 사건도 일어났다. 템스강의 선박 운행도 금지되었다.

런던 스모그(1952)

ⓒ 인물과사상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병원은 환자들로 넘쳐났다. 저항력이 약한 유아나 노약자들이 기관지와 호흡기 질환, 폐렴으로 죽었다. 남서풍이 불었던 9일 런던을 빠져나가기까지 5일간 스모그는 런던 시민 915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후유증은 더 컸다. 12월 말까지 누계 사망자가 4,000여 명 선을 넘고 이듬해에는 8,000여 명이 추가로 사망했다.

런던 시민 1만 2,000명의 목숨을 앗아간 스모그 피해는 런던 교외는 물론 영불 해협을 넘어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의 기후에도 영향을 미쳤다. 날씨와 기후, 환경 보전에 대한 국제적 협력의 필요성이 크게 부각된 것도 런던 스모그 이후다.

스모그는 남의 일이 아니다. 서울의 스모그는 공장과 가정의 매연이 원인인 런던형 스모그와 자동차 매연이 요인인 LA형 스모그의 복합형이다. 치유와 예방이 그만큼 어렵다. 세계경제포럼(WEF)이 조사한 환경 지속성 지수 결과에 따르면 한국은 조사 대상 146개 국가 중 122위다. 환경과 경제 여건을 감안할 때 지속적인 성장이 불가능할 수 있다는 얘기다. 환경을 도외시한 성장은 더 이상 불가능한 시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권홍우 집필자 소개

영문학과 경제학을 공부했다. 「서울경제신문」 경제부 기자, 증권부 차장으로 일하며 한국기자협회 ‘이 달의 기자상’(2회)과 백상기자대상을 받았다.

출처

99%의 롤모델
99%의 롤모델 | 저자권홍우 | cp명인물과사상사 전체항목 도서 소개

시간과 공간적 맥락에 따라 인간의 삶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지만, 역사를 공부하다 보면 일관적으로 목격되는 경향이 존재한다. 세계사를 수놓은 365가지의 장면과 인물을..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역사 일반

역사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1만 2,000여 명의 목숨을 앗아간 런던 스모그99%의 롤모델, 권홍우, 인물과사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