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의 균류
1. 자낭
균류

원추새알보리수버섯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테이블
분류 자낭균문 > 주발버섯아문 > 동충하초강 > 동충하초아강 > 동충하초목 > 알보리수버섯과 > 새알보리수버섯속
학명 Neonectria coccinea (Pers.) Rossman & Samuels
Nectria coccinea (Pers.) Fr.
분포지역 한국, 유럽
발생시기 연중

형태

자실체(자낭각)의 지름이 0.2~0.3㎜인 아주 작은 버섯이다. 자실체는 구형-난형이며 주홍색-암홍색이다. 중앙에 진하게 젖꼭지 모양 또는 반점 모양이 돌출된다. 표면은 밋밋하고 신선할 때는 유리 같이 투명한 느낌이 있다. 자실체가 나무껍질 밑에 들어 있을 때는 1~2㎜ 정도 크기의 자좌로 뭉쳐져 있다. 만약 나무껍질이 없는 표면에서 나면 흔히 1개만 발생하고 자좌는 없어진다. 자루는 없고 기물에 직접 부착한다. 포자의 크기는 10~12(13)×5~6㎛로 타원형에 투명하고 미세한 점들이 있어 거칠며 약간 연한 갈색이다. 1개의 격막이 있고 다소 잘록하다. 자낭의 크기는 60~80×7~10㎛로 원주형이고 밑동이 가늘어진다. 자낭포자는 1열로 배열하며 꼭대기는 고리 모양으로 두껍다. 측사는 보이지 않는다.

생태

단풍나무 등 활엽수의 죽은 줄기나 가지에 총생한다. 때로는 나무껍질 전체를 덮기도 한다.

    • 1~2원추새알보리수버섯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조덕현 집필자 소개

30년 이상 버섯만을 전문적으로 연구해 온 버섯박사이다. 황해도 황주에서 태어나 전북 군산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경희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펼쳐보기

출처

한국의 균류 1. 자낭균류
한국의 균류 1. 자낭균류 | 저자조덕현 | cp명한국학술정보 전체항목 도서 소개

국내 최초의 자낭균류 전문 도감 45년간의 연구, 10만점의 자료를 집약한 『한국의 균류』 시리즈 제1권! 국내 최초의 자낭균류 전문 도감균류는 유기물을 무기물로 바꾸..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원추새알보리수버섯한국의 균류 1. 자낭균류, 조덕현, 한국학술정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