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올림픽백과

카누 스프린트

다른 표기 언어 Canoe sprint
요약 테이블
종목 남자 카누(1인승 1000m, 2인승 1000m), 남자 카약(1인승 200m, 1000m, 2인승 1000m, 4인승 500m), 여자 카누(1인승 200m, 2인승 500m), 여자 카약(1인승 200m, 500m, 2인승 500m, 4인승 500m)
채택 1936년 11회 베를린 올림픽(독일)
금메달 개수 12개(남자 6개, 여자 6개)
국제경기 올림픽, 세계 카누 선수권 대회, 카누 월드컵 등
주요선수 예르트 프레드릭손(스웨덴), 이반 패차이킨(루마니아), 비르기트 피셔(독일, 여), 카탈린 코박(헝가리, 여)

요약 카누는 좁은 배를 타고 신속하게 이동하는 스포츠로 배 모양에 따라 카누와 카약 경기로 구분하고, 경기 방식에 따라 카누 스프린트, 카누 슬랄롬, 와일드 워터, 카누 마라톤, 카누 폴로, 카누 세일링, 드래곤 보트 등으로 구분한다. 이 가운데 카누 스프린트와 카누 슬라럼이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되어 있다.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카누 스프린트는 남자 6종목, 여자 6종목의 세부 경기가 열린다.

카누 대회 경기 장면

ⓒ wikipedia / Hussey239 | Public Domain

개요

카누 경기는 좁고 긴 배로 순위 경쟁을 하는 스포츠로 배의 종류와 승선 인원, 경주 장소와 거리에 따라 여러 종목으로 나뉜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종목인 카누 스프린트는 물결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정수(flatwater) 지역에서 열리는 경기로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때부터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2020년 도쿄 올림픽에는 남자 카누 2종목, 남자 카약 4종목, 여자 카누 2종목, 여자 카약 4종목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역사

카누는 1492년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신대륙을 발견했을 때 바하마 원주민인 아라와크(Arawak) 족이 타던 배 카노아(canoa, 통나무 한 개로 만든 배라는 뜻)에서 유래한다는 설이 있지만 비슷한 배가 세계 곳곳에서 오랜 옛날부터 사용되었으며, 유럽만 해도 신석기 시대에도 쓰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북아메리카의 인디언들이 사용하던 배는 카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카누의 일종인 카약도 에스키모 인들이 동물의 뼈와 가죽으로 만든 배에서 유래한 것이다.

1770년 미국에서는 원주민들의 배로 좁은 수로에서 경주를 자주 벌였으며, 현대 카약의 아버지로 일컫는 스코틀랜드의 존 맥그리거(John Macgregor)는 1864년부터 4년간 1인승 카누를 타고 유럽 곳곳을 여행한 후 여행기를 남겨 카누의 보급에 큰 역할을 하였다. 이후 1871년 영국에서 처음으로 로열 카누 클럽이 생기는 등 곳곳에서 카누가 인기를 끌었으며, 1904년 독일의 알프레트 하인리히(Alfred Heinreich)가 접이식 카누 팔트보트(faltboat)를 개발하여 카누를 널리 보급시켰다.

1924년 덴마크에서 국제 카누 연맹 조직 위원회가 결성된 뒤 파리 올림픽 대회에서 시범 종목을 펼쳤고, 1936년 베를린 올림픽부터는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세계 선수권 대회는 1938년 스웨덴에서 처음 열렸으며, 1946년에 정식으로 국제 카누 연맹이 발족하며 국제적인 스포츠로 발돋움하였다. 이후 카누는 다양한 세부 종목을 치르며 발전하였는데, 카누 스프린트는 1936년 베를린 올림부터 정식 종목이었고, 카누 슬라럼은 1972년 뮌헨 올림픽에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가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다시 채택될 때가지 제외된 바 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팬데믹 상황에 따라 연기되어 2021년 개최된 2020 도쿄 올림픽에는 남자 카누 2종목(1인승 1000m, 2인승 1000m), 남자 카약 4종목 (1인승 200m, 1000m, 2인승 1000m, 4인승 500m), 여자 카누 2종목(1인승 200m, 2인승 500m), 여자 카약 4종목(1인승 200m, 500m, 2인승 500m, 4인승 500m)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있다.

한국 카누 스프린트의 역사

국립 경주 박물관에 소장된 통나무배를 보면 우리나라에도 고대 사회부터 카누와 비슷한 배를 만들어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오늘날과 같은 경주용 카누가 우리나라에 소개된 것은 1980년대 초반이다. 1983년에야 대한 카누 협회가 설립되었으며, 그해 9월 아시아 카누 연맹 설립에 참가하였고 10월에는 수원의 원천 저수지에서 국내 최초로 전국 카누 경기 대회를 개최하였다. 이듬해에 대한 카누 연맹으로 개칭하고 국제 카누 연맹에 가입하면서 카누 보급을 위하여 외국과의 교류를 늘리고 선수들을 확충해 나갔다.

1984년 로스앤젤리스 올림픽에 선수단을 파견하여 경험을 쌓았고, 1985년에는 세계 카누 선수권 대회와 새로 창설된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였다. 1990년 베이징 아시안 게임에서 천인식이 금메달 3개를 따내는 등 아시아권에서는 좋은 성적을 올렸으나 세계 대회에서는 아직까지 이렇다 할 성적은 올리지 못하였다. 2016년 리우 올림픽에는 조광희와 최민규가 남자 2인승 200m와 남자 1인승 200m에 출전한다.

국내 주요 대회로는 회장배 대회와 전국 카누 선수권 대회, 파로호배 대회, 국민 체육 진흥 공단 이사장배 대회, 백마강배 대회, 해양수산부 장관배 드래곤 보트 및 카누 마라톤 대회 등이 있다.

리그 구성

세계 랭킹과 대륙별 예선을 통해 본선 진출자를 가린다. 1차전은 추첨으로 조 및 레인을 정하고, 2차전은 1차전 경기 순위에 때라 조를 배정하고 레인은 성적순으로 가운데 레인부터 바깥쪽으로 배정한다.

올림픽 카누 스프린트 경기장 규격

예비 공간을 포함하여 최소 1500m 길이의 수역이 필요하다.
레인 : 폭 5~9m×9개, 양쪽에 2개의 예리 레인 필요
부이(bouy) : 100m 간격으로 설치(마지막 부이는 결승선 2m 앞에 설치)
: 출발선과 결승선은 붉은 깃발로 표시한다.

올림픽 카누 스프린트 경기장

ⓒ Daum 백과사전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타 경기장
2012 런던 올림픽 카누 경기장

ⓒ wikipedia / dsearls | CC BY-SA 2.0

카누 슬라럼(Canoe Slalom) : 400m 이내로 유속은 2m/초 이상이어야 하며, 기문은 20~25개를 설치된다. 그중 역류 기문은 6개 이상이며 최종 기문은 결승선에서 25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카누 폴로(Canoe Polo) : 길이는 20~50m이며, 길이와 폭의 비율은 3: 2 직사각형이어야 한다. 깊이는 90cm 이상으로 수면 위 3m까지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 실내 경기장의 경우 천정의 높이는 5m 이상이어야 한다. 경기자 둘레에 주심이 다니는 통로가 설치된다.
사이드라인과 골라인은 물에 뜨는 밧줄로 표시하고 하프라인 가상 선상의 양쪽과 골라인으로부터 6m 지점 양쪽 육상에는 표시물을 설치한다.
카누 마라톤(Canoe marathon) : 장애물이 없는 강, 댐이나 바위 등의 장애물이 있는 강, 호수나 바다, 여러 가지 코스가 혼합된 형태의 경기장 등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카누 마라톤은 남자 20km 이상, 여자 15km 이상의 경기를 말한다.
드래건 보트(Dragon boat) : 중국 전통의 용선 경주를 도입한 종목으로 특별한 경기장 규정은 없다.
카누 세일링(Canoe Sailing) : 세 개의 대형 부표로 정삼각형을 만들되 한 면은 바람의 방향과 일치시킨다.
와일드 워터(wild water) : 자연 장애물이 있는 급류로 3km 이상이다. 400~800m의 단거리 경주도 있다.
기타 : 투어링(touring), 래프팅 등은 레저 경기로서 특별한 경기장 규격이 없다. 개최 지역의 특성에 따라 설치하면 된다.

올림픽 카누 스프린트 용구 규정

경기정의 크기

종목

길이

무게

카누 1인승(C-1)

520cm 이하

75cm 이상

16kg 이상

카누 2인승(C-2)

650cm 이하

75cm 이상

20kg 이상

카누 4인승(C-4)

900cm 이하

75cm 이상

30kg 이상

카약 1인승(K-1)

520cm 이하

51cm 이상

12kg 이상

카약 2인승(K-2)

650cm 이하

55cm 이상

18kg 이상

카약 4인승(K-4)

1100cm 이하

60cm 이상

30kg 이상

카누 스프린트 용구

ⓒ Daum 백과사전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복장

2~4인승의 경우 유니폼 색상, 소매 길이 등이 동일해야 한다.

경기 방법 및 규칙

경기 종목

카누 : 덮개가 없고 외날(싱글 패들)의 노를 사용하며, 한쪽 무릎을 꿇은 자세로 경주한다. 남자부 C-1 200m와 1000m, C-2 1000m의 경기가 있다.
카약 : 윗덮개가 있고 양날(더블 패들)의 노를 사용하며, 앉은 자세로 경주한다. 남자부 K-1 200m와 1000m, K-2 200m, K-2 1000m, K-4 1000m, 여자부 K-1 200m와 500m, K-2 500m, K-4 500m가 있다.

경기 규칙

1차전은 추첨으로 조 및 레인을 정하고, 2차전은 1차전 경기 순위에 때라 조를 배정하고 레인은 성적순으로 가운데 레인부터 바깥쪽으로 배정한다.

출전 선수는 해당 경기 시작 3분 전에 출발선상 50m 이내에 대기해야 하며, 대기선상에 있는 보트가 특별한 이유 없이 출정 시간이 늦을 경우 실격으로 한다.

출발은 스테이크 보트를 사용 출발해야 하며, 출발 신호는 출발 신호총, 메가폰 육성으로 하며 10초 이내에 출발해야 한다. 부정 출발 1번은 경고, 2번은 실격이며, 출발 정위치 지시를 위반 시는 2차 경고 후 3차시 실격 처리한다.

자신의 항로를 유리하게 하기 위해 다른 선수의 5m 이내로 접근하면 실격 처리한다.

전복 시에는 누구 도움이 없이 다시 승선하면 경기할 수 있다.

입상자는 승선한 채로 반드시 지정된 퇴정 폰툰으로 퇴정하여야 하며 위반 시 실격 처리한다. 동 타임일 경우 비디오로 판정하며 판정 불가 시 입상 순에 따라 동률로 결정된다.

대표적인 국제 경기

세계 카누 선수권 대회

1938년 스웨덴 박스홀름에서 제1회 대회가 열렸으며 올림픽이 있는 해를 제외하고 매년 개최된다. 첫 대회에는 12개 세부 종목이 있었으나 이후 늘어나 2011년 헝가리에서 열린 대회에서는 남자 18개, 여자 11개 등 총 29개가 되었다. 비올림픽 종목인 와일드 워터와 카누 폴로, 드래건 보트 등은 2년마다 열린다.

카누 월드컵 대회 등

월드컵 대회는 시리즈 형태로 종목별로 개최된다. 이밖에 세계 청소년 선수권 대회는 2년마다, 아시아 선수권 대회 등의 대륙별 선수권 대회는 4년마다 개최되고 있다.

세계적인 카누 스프린트 스타

스웨덴의 카누 영웅 예르트 프레드릭손(Gert Fredriksson, 스웨덴, 1919. 11. 21~ 2006. 7. 5)
예르트 프레드릭손(Gert Fredriksson)

ⓒ wikipedia | Public Domain

스웨덴의 스프린트 카누 선수로 1948년부터 1960년까지 4차례 올림픽에서 6개의 금메달을 포함하여 총 8개의 메달을 획득하였다. 1956년에 국제 올림픽 위원회로부터 세계 제1의 스포츠맨에게 주는 ‘모하메드 타헤르 트로피(Mohammed Taher Trophy)를 수상하였다. 1964년 올림픽에서는 스웨덴 총감독을 맡았다.

100회 우승 이반 패차이킨(Ivan Patzaichin, 루마니아, 1949. 12. 26)
이반 패차이킨(Ivan Patzaichin)

ⓒ wikipedia / Cezarika1 | Public Domain

1968년부터 1984년까지 올림픽에 총 5회 출전하여 금메달 4개, 은메달 3개를 획득하였다. 특히 남자 카누 2인승에서 세 개의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8번 챔피언에 올랐으며, 그간 각종 대회에서 100회가 넘는 우승 기록을 남겼다.

카누의 살아 있는 전설 비르기트 피셔(Birgit Fischer-Schmidt, 독일, 여, 1962. 2. 25)
비르기트 피셔(Birgit Fischer-Schmidt, 왼쪽)

ⓒ wikipedia / Landesvertretung Schleswig-Holstein | CC BY-SA 2.0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부터 2004년 아테네 올림픽까지 올림픽에 6회 출전하여 금메달 8개, 은메달 4개를 따낸 카누의 살아 있는 전설이다. 동독 시절에 금메달 3개, 통일 독일에서 5개 등을 따내 올림픽 카누 최다 금메달 수상자로 올라 있으며, 역대 올림픽 최다 메달 수상자 8위에도 올라 있다.

헝가리의 금메달 박스 카탈린 코박(Katalin Kovács, 헝가리, 여, 1976. 2. 29)
비르기트 피셔(Birgit Fischer-Schmidt, 왼쪽)

ⓒ wikipedia / Thaler Tamas | CC BY-SA 4.0

18세에 유럽 주니어 챔피언에 오른 헝가리의 카약 선수로 특히 단체전에 뛰어난 성적을 올렸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부터 2012년 런던 올림픽까지 참가하여 K-2 500m와 K-2 500m에서 금메달 3개, 은메달 5개를 따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그간 금메달 31개, 유럽 선수권에서는 금메달 26개를 획득하였다.

역대 올림픽 카누(스프린트) 메달리스트

1936년 베를린 올림픽 (11회) ~1972년 뮌헨 올림픽 (20회)
대회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

1936년 11회

베를린 올림픽

남자 K-1 1000m그레고르 흐라데츠키(오스트리아)헬무트 캠메러(독일)얍 크라이어(네덜란드)
남자 K-1 10km에른스트 크렙스(독일)프리츠 란데르팅거(오스트리아)어니 라이델(미국)
남자 K-2 1000m오스트리아독일네덜란드
남자 K-2 10km독일오스트리아스웨덴
남자 C-1 1000m프랭크 아뮈어트(캐나다)보후슬라프 카르릭(체코)에리히 코스치크(독일)
남자 C-2 1000m체코오스트리아캐나다
남자 C-2 10km체코캐나다오스트리아
남자 폴딩 K-1 10km그레고르 흐라데츠키(오스트리아)앙리 에베하트(프랑스)자베르 회르만(독일)
남자 폴딩 K-2 10km스웨덴독일네덜란드

1948년 14회

런던 올림픽

남자 K-1 1000m예르트 프레드릭손(스웨덴)도르발트 프레데릭 안데르센(덴마크)앙리 에베하트(프랑스)
남자 K-1 10km예르트 프레드릭손(스웨덴)쿠르트 비레스(핀란드)에이빈트 스카보(노르웨이)
남자 K-2 1000m스웨덴덴마크핀란드
남자 K-2 10km스웨덴노르웨이핀란드
남자 C-1 1000m조제프 홀레체크(체코)더글라스 베넷(캐나다)로버트 부치니(프랑스)
남자 C-1 10km프란티섹 차펙(체코)프랭크 해븐스(미국)놈 레인(캐나다)
남자 C-2 1000m체코미국프랑스
남자 C-2 10km미국체코프랑스
여자 K-2 500m카렌 호프(덴마크)리다 반 데르 앙케르 도덴스(네덜란드)프리치 슈빈글(오스트리아)

1952년 15회

헬싱키 올림픽

남자 K-1 1000m예르트 프레드릭손(스웨덴)도르발트 스트롬베르크(핀란드)루이 간투와(프랑스)
남자 K-1 10km도르발트 스트롬베르크(핀란드)예르트 프레드릭손(스웨덴)미첼 슈어(독일)
남자 K-2 1000m핀란드스웨덴오스트리아
남자 K-2 10km핀란드스웨덴헝가리
남자 C-1 1000m조제프 홀레체크(체코)야노스 파르티(헝가리)알프레드 진드라(체코)
남자 C-1 10km프랭크 해븐스(미국)가보르 노박(헝가리)겐나디 부크하린(소련)
남자 C-2 1000m덴마크체코독일
남자 C-2 10km프랑스캐나다독일
여자 K-2 500m실비 사이모(핀란드)게르투르데 리에브하르트(오스트리아)닌나 사비나(소련)

1956년 16회

멜버른 올림픽

남자 K-1 1000m예르트 프레드릭손(스웨덴)이고르 피사레프(소련)라조스 키스(루마니아)
남자 K-1 10km예르트 프레드릭손(스웨덴)페렌크 해틀라츠키(불가리아)미첼 슈어(독일)
남자 K-2 1000m독일소련오스트리아
남자 K-2 10km헝가리독일오스트레일리아
남자 C-1 1000m레온 로트만(불가리아)이스트반 헤르넥(헝가리)겐나디 부크하린(소련)
남자 C-1 10km레온 로트만(불가리아)야노스 파르티(헝가리)겐나디 부크하린(소련)
남자 C-2 1000m루마니아소련헝가리
남자 C-2 10km소련프랑스헝가리
여자 K-2 500m옐리자예타 데멘트예바(소련)데레세 젠츠(독일)토베 쇠비(덴마크)

1960년 17회

로마 올림픽

남자 K-1 1000m에릭 한센(노르웨이)임레 졸로시(헝가리)게르트 프레드릭손(스웨덴)
남자 K-2 1000m스웨덴헝가리폴란드
남자 K-4 1000m독일헝가리덴마크
남자 C-1 1000m자노스 파르티(헝가리)알렉산드르 실라예프(소련)레온 로트만(불가리아)
남자 C-2 1000m소련이탈리아헝가리
여자 K-1 500m안토니나 세레디나(소련)데레세 젠츠(독일)다니엘라 필렉카(폴란드)
여자 K-2 500m소련독일헝가리

1964년 18회

도쿄 올림픽

남자 K-1 1000m롤프 페테르손(스웨덴)마할리 헤츠(불가리아)아우렐 베르네스쿠(불가리아)
남자 K-2 1000m스웨덴네덜란드독일
남자 K-4 1000m소련독일루마니아
남자 C-1 1000m주르겐 에스체르트(독일)안드레이 이고로프(불가리아)예브게니 페냐예프(소련)
남자 C-2 1000m소련프랑스덴마크
여자 K-1 500m류드밀라 크베도슈크(소련)일데 라우어(불가리아)마르시아 스모크(미국)
여자 K-2 500m독일미국루마니아

1968년 19회

멕시코 올림픽

남자 K-1 1000m마할리 헤츠(불가리아)올렉산드르 샤파렌코(소련)에릭 한센(노르웨이)
남자 K-2 1000m소련헝가리오스트리아
남자 K-4 1000m노르웨이루마니아헝가리
남자 C-1 1000m티보르 타타이(헝가리)데틀레프 레베(서독)비탈리 갈코프(소련)
남자 C-2 1000m루마니아헝가리소련
여자 K-1 500m류드밀라 크베도슈크(소련)레나테 브레우어(서독)비오리카 두미트루(불가리아)
여자 K-2 500m서독헝가리소련

1972년 20회

뮌헨 올림픽

남자 K-1 1000m올렉산드르 샤파렌코(소련)롤프 페테르손(스웨덴)게자 차포(헝가리)
남자 K-2 1000m소련헝가리폴란드
남자 K-4 1000m소련루마니아노르웨이
남자 C-1 1000m이반 패차이킨(불가리아)타마스 비크만(헝가리)데틀레프 레베(서독)
남자 C-2 1000m소련루마니아불가리아
여자 K-1 500m율리야 리아브친스카(소련)미에케 자스피에스(네덜란드)안나 프페퍼(불가리아)
여자 K-2 500m소련동독루마니아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21회) ~ 2012년 런던 올림픽 (30회)
대회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

1976년 21회

몬트리올 올림픽

남자 K-1 500m바질레 디바(불가리아)졸탄 스탄니티(헝가리)루디게르 헬름(동독)
남자 K-1 1000m루디게르 헬름(동독)게자 차포(헝가리)바질레 디바(불가리아)
남자 K-2 500m동독소련루마니아
남자 K-2 1000m소련동독헝가리
남자 K-4 1000m소련스페인동독
남자 C-1 500m알렉산드르 로고프(소련)존 우드(캐나다)마티야 류벡(유고)
남자 C-1 1000m마티야 류벡(유고)바실 유르첸코(소련)타마스 비크만(헝가리)
남자 C-2 500m소련폴란드헝가리
남자 C-2 1000m소련루마니아헝가리
여자 K-1 500m카롤라 지르조프(동독)타티아나 코르슈노바(소련)클라라 라지나이(헝가리)
여자 K-2 500m소련헝가리동독

1980년 22회

모스크바 올림픽

남자 K-1 500m블라디미르 파르페노비치(소련)존 수메기(오스트레일리아)바질레 디바(불가리아)
남자 K-1 1000m루디게르 헬름(동독)알랭 르바(프랑스)이온 비르라데누(불가리아)
남자 K-2 500m소련스페인동독
남자 K-2 1000m소련헝가리스페인
남자 K-4 1000m동독루마니아불가리아
남자 C-1 500m세르히 포스트리에크힌(소련)류보미르 류베노프(불가리아)올라프 헤우크로트(동독)
남자 C-1 1000m류보미르 류베노프(불가리아)세르히 포스트리에크힌(소련)에트하르트 레우에(동독)
남자 C-2 500m헝가리루마니아불가리아
남자 C-2 1000m루마니아동독소련
여자 K-1 500m비르짓 슈미트(동독)배냐 게세바(불가리아)안토니나 멜니코바(소련)
여자 K-2 500m동독소련헝가리

1984년 23회

로스엔젤리스 올림픽

남자 K-1 500m이안 페르구손(뉴질랜드)라르스 에릭 모베르크(스웨덴)베르나드 브레겐(프랑스)
남자 K-1 1000m알란 톰슨(뉴질랜드)밀란 자닉(유고)그레그 바톤(미국)
남자 K-2 500m뉴질랜드스웨덴캐나다
남자 K-2 1000m캐나다프랑스오스트레일리아
남자 K-4 1000m뉴질랜드스웨덴프랑스
남자 C-1 500m래리 카인(캐나다)헨닝 야콥센(노르웨이)코스티카 올라루(불가리아)
남자 C-1 1000m울리 에이케(서독)래리 카인(캐나다)헨닝 야콥센(노르웨이)
남자 C-2 500m유고루마니아스페인
남자 C-2 1000m루마니아유고프랑스
여자 K-1 500m아그네타 안데르손(스웨덴)바르바라 슈트펠츠(서독)안네미크 데르킥스(네덜란드)
여자 K-2 500m스웨덴캐나다서독
여자 K-4 500m루마니아스웨덴캐나다

1988년 24회

서울 올림픽

남자 K-1 500m졸트 귈라이(헝가리)안드레아스 스탈레(동독)파울 맥도날드(오스트레일리아)
남자 K-1 1000m그레그 바톤(미국)그랜트 데이비스(오스트레일리아)안드레 볼레베(동독)
남자 K-2 500m뉴질랜드소련헝가리
남자 K-2 1000m미국뉴질랜드오스트레일리아
남자 K-4 1000m헝가리소련동독
남자 C-1 500m올라프 헤우크로트(독일)미칼 슬리핀스키(소련)마르틴 마리노프(불가리아)
남자 C-1 1000m이반스 클레멘티예프스(소련)조르그 슈미트(동독)니콜라이 부칼로프(불가리아)
남자 C-2 500m소련폴란드프랑스
남자 C-2 1000m소련동독폴란드
여자 K-1 500m배냐 게세바(불가리아)비르짓 슈미트(독일)이자벨라 딜레프스카(폴란드)
여자 K-2 500m동독불가리아네덜란드
여자 K-4 500m동독헝가리불가리아

1992년 25회

바르셀로나 올림픽

남자 K-1 500m미코 콜레흐마이넨(핀란드)졸트 귈라이(헝가리)크누트 홀만(노르웨이)
남자 K-1 1000m클린트 로빈손(오스트레일리아)크누트 홀만(노르웨이)그레그 바톤(미국)
남자 K-2 500m독일폴란드이탈리아
남자 K-2 1000m독일스웨덴폴란드
남자 K-4 1000m독일헝가리오스트레일리아
남자 C-1 500m니콜라이 부칼로프(불가리아)미칼 슬리핀스키(독립국가연합)올라프 헤우크로트(독일)
남자 C-1 1000m니콜라이 부칼로프(불가리아)이반스 클레멘티예프스(라트비아)잘라 죄르지(헝가리)
남자 C-2 500m독립국가연합독일불가리아
남자 C-2 1000m독일덴마크프랑스
여자 K-1 500m비르짓 슈미트(독일)리타 코반(헝가리)이자벨라 딜레프스카(폴란드)
여자 K-2 500m독일스웨덴헝가리
여자 K-4 500m헝가리독일스웨덴

1996년 26회

애틀랜타 올림픽

남자 K-1 500m안토니오 로시(이탈리아)크누트 홀만(노르웨이)피오트르 마르키예프치(폴란드)
남자 K-1 1000m크누트 홀만(노르웨이)베니아미노 보노미(이탈리아)클린트 로빈손(오스트레일리아)
남자 K-2 500m독일이탈리아오스트레일리아
남자 K-2 1000m이탈리아독일불가리아
남자 K-4 1000m독일헝가리러시아
남자 C-1 500m마르틴 독토르(폴란드)슬라보미르 크나조비키(슬로바키아)임레 풀라이(헝가리)
남자 C-1 1000m마르틴 독토르(폴란드)이반스 클레멘티예프스(라트비아)잘라 죄르지(헝가리)
남자 C-2 500m헝가리몰도바루마니아
남자 C-2 1000m독일루마니아헝가리
여자 K-1 500m리타 코반(헝가리)카트린 보르쳇(뉴질랜드)조세파 이뎀(이탈리아)
여자 K-2 500m스웨덴독일오스트레일리아
여자 K-4 500m독일스위스스웨덴

2000년 27회

시드니 올림픽

남자 K-1 500m크누트 홀만(노르웨이)페타르 메르코프(불가리아)미카엘 콜가노프(이스라엘)
남자 K-1 1000m크누트 홀만(노르웨이)페타르 메르코프(불가리아)팀 브라반츠(영국)
남자 K-2 500m헝가리오스트레일리아독일
남자 K-2 1000m이탈리아스웨덴헝가리
남자 K-4 1000m헝가리독일폴란드
남자 C-1 500m콜로니치 죄르지(헝가리)막심 오팔례프(러시아)안드레아스 디트메르(독일)
남자 C-1 1000m안드레아스 디트메르(독일)레디스 발세이로(쿠바)스티브 길레스(캐나다)
남자 C-2 500m헝가리폴란드루마니아
남자 C-2 1000m루마니아쿠바독일
여자 K-1 500m조세파 이뎀(이탈리아)캐롤라인 브루넷(캐나다)카트린 보르쳇(뉴질랜드)
여자 K-2 500m독일헝가리폴란드
여자 K-4 500m독일헝가리루마니아

2004년 28회

아테네 올림픽

남자 K-1 500m아담 반 코에버덴(캐나다)나단 백갤리(오스트레일리아)이안 윈(영국)
남자 K-1 1000m에리크 라르센(노르웨이)벤 포이(뉴질랜드)아담 반 코에버덴(캐나다)
남자 K-2 500m독일오스트레일리아벨라루스
남자 K-2 1000m스웨덴이탈리아노르웨이
남자 K-4 1000m헝가리독일슬로바키아
남자 C-1 500m안드레아스 디트메르(독일)다비드 칼(스페인)막심 오팔례프(러시아)
남자 C-1 1000m다비드 칼(스페인)안드레아스 디트메르(독일)아틸라 바즈다(헝가리)
남자 C-2 500m중국쿠바러시아
남자 C-2 1000m독일러시아헝가리
여자 K-1 500m나타사 도체프 자닉스(헝가리)조세파 이뎀(이탈리아)캐롤라인 브루넷(캐나다)
여자 K-2 500m헝가리독일폴란드
여자 K-4 500m독일헝가리우크라이나

2008년 29회

베이징 올림픽

남자 K-1 500m켄 월레이스(오스트레일리아)아담 반 코에버덴(캐나다)팀 브라반츠(영국)
남자 K-1 1000m팀 브라반츠(영국)에리크 라르센(노르웨이)켄 월레이스(오스트레일리아)
남자 K-2 500m스페인독일벨라루스
남자 K-2 1000m독일덴마크이탈리아
남자 K-4 1000m벨라루스슬로바키아독일
남자 C-1 500m막심 오팔례프(러시아)다비드 칼(스페인)유리 체반(우크라이나)
남자 C-2 1000m벨라루스독일헝가리
남자 C-1 1000m아틸라 바즈다(헝가리)다비드 칼(스페인)토마스 홀(캐나다)
남자 C-2 500m중국러시아독일
여자 K-2 500m헝가리폴란드프랑스
여자 K-1 500m인나 오시펜코(우크라이나)조세파 이뎀(이탈리아)카트린 바그너(독일)
여자 K-4 500m독일헝가리오스트레일리아

2012년 30회

런던 올림픽

남자 K-1 200m에드 맥키버(영국)사울 크라비오토(스페인)마크 디 용(미국)
남자 K-1 1000m에리크 라르센(노르웨이)아담 반 코에버덴(캐나다)막스 호프(독일)
남자 K-2 200m러시아벨라루스영국
남자 K-2 1000m헝가리포르투갈독일
남자 K-4 1000m오스트레일리아헝가리체코
남자 C-1 200m유리 체반(우크라이나)예브게니우스 스클리나스(리투아니아)이반 쉬타일(러시아)
남자 C-1 1000m세바스티안 브렌델(독일)다비드 칼(스페인)마크 올더쇼(캐나다)
남자 C-2 1000m독일벨라루스러시아
여자 K-1 200m리사 캐링톤(오스트레일리아)인나 오시펜코 라돔스카(우크라이나)나타사 도체프 자닉스(헝가리)
여자 K-1 500m다누타 코작(헝가리)인나 오시펜코 라돔스카(우크라이나)브리지트 하틀리(남아공)
여자 K-2 500m독일헝가리폴란드
여자 K-4 500m헝가리독일벨라루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올림픽백과
올림픽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1회~30회까지의 역대 올림픽 정보, 우리나라 올림픽 성적, 올림픽 종목에 대한 상세 내용을 담고 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카누 스프린트올림픽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