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주가연계 파생결합사채

다른 표기 언어 Equity Linked Bonds 동의어 ELB

요약 주식이나 주가지수 등과 연동해 수익률을 결정하는 원금보장형 금융상품. 일종의 채권으로 만기 때 원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다.

개요

주식 등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일종의 채권이다. 본래 원금보장형 파생결합증권(DLS)에 속했으나 2013년 8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자본시장법)」 개정으로 분류가 바뀌었다. 일반 채권과 마찬가지로 만기에 이자와 원금을 지급한다. 이자가 정해진 채권과 달리 주가연계 파생결합사채(ELB)는 주식 등 기초자산에 따라 이자가 달라진다.

파생결합증권(DLS)이란 기초자산의 가격이나 이자율 등의 변동과 연계하여 수익을 보장하는 증권이다. 그중 특정 주식의 가격이나 코스피200 등 지수에 연동해 수익률을 결정하는 증권을 주가연계증권(ELS)이라 한다. 파생결합사채는 DLS나 ELS와 구성이 같지만, 원금이 보장된 증권이다. 채권처럼 원금 손실 없이 만기 때 이자와 원금을 돌려받으며 상법을 적용받는다.

종류

파생결합사채는 기초자산에 따라 ‘주가연계 파생결합사채(ELB)’와 ‘기타 파생결합사채(DLB, Derivative Linked Bond)’로 구분한다. ELB는 주가와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다. DLB는 금리나 원자재, 신용등급, 통화 등과 연계하여 수익을 결정한다. ELB와 DLB 모두 증권사가 도산하지 않는 이상 원금을 보장받을 수 있다.

증권거래소 차트

주가연계 파생결합사채(ELB)는 주식이나 주가지수 등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원금보장형 금융상품이다.

ⓒ Golden House/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특징

ELB의 수익률은 주가연계증권(ELS)과 마찬가지로 기초자산인 주가지수나 특정 종목 주가에 따라 결정된다.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연 2%부터 최대 10%까지 수익이 발생하며 만기 때 원금과 함께 돌려받을 수 있다. 만기는 상품에 따라 3개월부터 5년까지 다양하다. 원금보장형 상품이므로 조건을 만족하지 않아도 만기 때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 단, 해당 상품을 낸 증권사가 도산할 경우에는 원금을 돌려받을 수 없다.

ELB를 중도상환할 때는 원금을 손실할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중도상환할 때는 ELB의 시장 상황이나 기초자산 가치 등을 고려해 지급액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투자상품과 비교하면 원금이 보장된다는 점에서 안정적인 대신,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내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ELB 상품이 반드시 최고 수익률을 달성하는 것은 아니며 특정 조건을 달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주가연계 파생결합사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