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삼략

다른 표기 언어 三略 동의어 황석공기, 황석공삼략

요약 중국의 병서. 저자는 중국 은, 주 나라 때의 인물인 강상이며, 진나라 말기에 황석공이 이 책을 장량에게 전해주었다는 설이 있어 <황석공기>, <황석공삼략>이라고도 한다. <육도>와 함께 흔히 <육도삼략>이라고 불린다. 후대에 ‘무경칠서’ 중 하나로 꼽혔는데 <삼략>은 특히 전쟁에 대처하기 위한 국가 운영의 기본과 함께 민심을 잃지 않고 전쟁에서 승리하는 법과 현자를 기용하여 군사를 다스리고 정국을 안정시켜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개요

중국의 병서. 저자는 중국 은(殷, 상(商)이라고도 함) 나라와 주(周) 나라 때의 인물인 강상(姜尙, 강태공, 태공망)이라고 한다. 강상은 은나라의 정치가 파탄에 이르자 주의 무왕을 도와 은나라를 괴멸시키고 중국을 통일하는 데 기여한 인물이다. 그러나 진(秦) 나라 말기에 황석공(黄石公)이 이 책을 한(漢) 고조(高祖) 유방(劉邦)의 모사였던 장량(張良)에게 전해주었다는 설이 있어 <황석공기(黄石公記)>, <황석공삼략(黄石公三略)>이라고도 한다. <육도>와 함께 흔히 <육도삼략(六韜三略)>이라고 불린다.

구성과 내용

<삼략>은 ‘상략(上略)’, ‘중략(中略)’, ‘하략(下略)’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삼략’의 ‘략’은 ‘기략(機略)’을 뜻하는데, 이는 상황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해결책을 찾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지혜를 의미한다. 편을 나눈 상, 중, 하는 특별한 의미는 없으며 ‘삼’은 ‘많다, 완전하다’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삼략>은 전체적으로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평소에 백성의 힘을 키워야 함을 강조하고, 전쟁을 벌일 때에는 정의를 추구해야 하며, 전쟁을 치를 때에는 현명한 사람을 뽑아 장수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징과 영향

<삼략>은 <육도>와 함께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병서로, <육도>, <손자(孫子)>, <오자(吳子)>, <울료자(尉繚子)>. <사마법(司馬法)>, <이위공문대(李衛公問對)>와 함께 후대에 ‘무경칠서(武經七書)’라고 불렸다. ‘무경칠서’에 속한 다른 책들이 주로 병법과 전법 등 군사 분야에 집중하고 있으나 <삼략>은 전쟁에 대처하기 위한 국가 운영의 기본과 함께 민심을 잃지 않고 전쟁에서 승리하는 법과 현자를 기용하여 군사를 다스리고 정국을 안정시켜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민본정치의 정신을 강조한다는 차이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삼략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