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고가도로

다른 표기 언어 High-Level Road , 高架道路

요약 교통 소통을 위해 공중에 설치하는 도로

공중에 설치하는 도로를 말한다. 차량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목적으로, 주로 통행량이 많은 교차로에 세워진다. 교차로를 신호대기 없이 통과할 수 있으므로 교통량이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고가도로는 철도나 도로 간 평면교차를 피하려고 건설하기도 한다. 평면교차란 도로와 도로, 철도와 철도, 철도와 도로가 동일 평면에서 교차하는 것이다. 또한, 하천을 따라 도로를 개설하거나 높이차가 나는 지점을 연결하는 등 지형적 이유로도 설치한다. 두 도로의 입체교차와 분기를 목적으로 고가도로를 건설하는 경우도 있다.

서울역 고가도로 전경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최초의 고가도로는 1968년 준공된 아현고가도로다. 1971년에는 청계고가도로서대문고가차도가 완성되었으며 1975년에는 서울역고가도로가 준공되었다. 이후 1980년대 무렵까지 많은 수의 고가도로가 전국적으로 건설되었다.

고가도로는 2000년대 초부터 철거되기 시작했다. 고가도로 대부분이 1970~1980년대 건설되어 시설이 낡고 시대 변화로 예전만큼 교통 순환에 도움이 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교통편의보다 경관이나 환경을 중시하게 된 시민의식 변화도 영향을 미쳤다. 2003년 청계천복원사업 관련으로 청계고가도로와 원남고가차도가 철거되었다. 2008년에는 버스전용차로 문제로 혜화고가차도가 철거되었으며 최초의 고가도로인 아현고가도로는 2014년 철거되었다. 2015년 7월에는 서대문고가차도가 보행자 중심의 교통환경 조성을 이유로 철거되었다. 이를 포함해 2015년까지 약 20여 개의 고가도로가 노후화와 차량흐름 방해 등의 이유로 철거되었다.

2015년 12월 서울역고가도로가 폐쇄되었다. 서울역고가도로는 노후화로 인해 1980년대 후반부터 통행차량의 중량이 제한되고 2008년에는 시내버스 12개 노선이 폐지된 바 있다. 지속적인 보수에도 불구하고 2013년 안전감사에서 제한위험등급인 D등급을 받는 등 붕괴 우려가 있어 폐쇄가 시급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고가도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