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설립 | 1976-06-01 |
---|---|
국가 | 대한민국 |
기업형태 | 공기업 |
업종 | 금융업 |
취급품목 | 신용보증, 투융자 지원, 신용정보(신용조사 및 채권추심), 채권관리, 전자상거래 보증, 매출채권보험, 어음보험 |
사이트 | http://www.kodit.co.kr |
본사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첨단로7 (신서동) |
요약 기업의 재정적 지원을 위해 설립된 준정부기관. 1974년 신용보증기금법 제정 후, 1976년 6월 특별법인으로 설립되었다. 자금이 필요한 기업의 신용을 보증하는 준정부기관이다. 중소기업의 채무 보증, 신용정보의 효율적 관리·운용 등을 통하여 국민경제 발전을 도모하고 있으며, 이밖에도 기업의 유동성 확보를 지원하고 있다.
기업스토리
역사
신용보증기금은 ‘신보’ 또는 ‘코딧(KODIT: Korea Credit Guarantee Fund)’이라고도 한다. 담보능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이 부담하는 채무를 보증하여 기업의 자금융통을 도와주고, 신용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운용하여 건전한 신용질서의 확립과 균형 있는 국민경제를 발전시키는 데 설립목적이 있다. 1972년 8월 3일 대통령의 긴급명령으로 8·3 긴급금융조치가 공포된 뒤 신용 보증제도가 확충되면서 모든 금융기관에 신용보증기금이 설치되었다. 이후 1974년 12월 신용보증기금법이 제정·공포되면서 1976년 6월 1일 각 금융기관에 산재하여 있던 기금을 통합하여 특별법인인 신용보증기금이 설립되었다.
1995년 5월 산업기반신용보증기금을 설치하였고, 1997년 4월 어음보험계정을 설치하여 어음보험 업무를 취급하였다. 1999년 1월 주택금융신용보증기금 관리기관이 되었으며, 2000년 12월 금융기관 출연 시한을 폐지하였다. 2004년 3월 매출채권보험 업무를 취급하였으며, 주택금융 신용보증 업무를 한국주택금융공사로 이관하였다. 2017년 6월에는 부산 지역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점포를 개설했으며, 7월에는 2020년까지 지속되는 중소기업 지원 ‘IPO-1000 프로젝트’를 개시했다.
2017년 9월, 로봇산업 육성을 위해 한국로봇산업진흥원, KEB하나은행과 '우수 로봇의 활용 촉진 및 우수 로봇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같은 해 11월 효율적 정책수행을 통해 금융산업을 발전시키고 금융소비자를 보호 공로로 금융혁신 부분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2021년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와 '자산 매입 후 임대프로그램(S&LB)' 지원 기업 경영정상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2022년 녹색 공정전환 보증 업무를 개시했다.
연혁
• 1972년 8월 : 8.3긴급명령에 의하여 신용보증제도 확충, 전 금융기관에 신용보증기금 설치
• 1974년 12월 : 신용보증기금법 제정·공포
• 1976년 6월 : 신용보증기금 창립
• 1995년 5월 : 산업기반신용보증기금 설치
• 1996년 1월 : 정부출연 예산 소관을 중소기업청으로 변경
• 1999년 1월 : 산업은행, 기술신용보증기금, 산업기반신용보증기금을 신용보증기금의 산업기반신용보증기금에 통합
• 2014년 12월 : 신용보증기금 본점 대구 이전
• 2017년 6월 : 부산 스타트업 지원 점포 개설
• 2017년 7월 : 2020년까지 중소기업 지원하는 ‘IPO-1000 프로젝트’ 추진
• 2018년 5월 : 5개 과학기술특성화 대학(KAIST, GIST, DGIST, UNIST, POSTEC)과 우수창업기업 지원 협약 체결
• 2021년 5월 : 캠코와 '기업 정상화 지원' 업무 협약 체결
• 2022년 6월 : 녹색 공정전환 보증 업무 개시
• 2023년 12월 : 신용보증기금법 개정(팩토링 대상 중견기업으로 확대)
주요 사업
신용보증기금의 주요 업무 및 상품으로 일반운전자금, 창업자금, 구매자금, 수출입자금, 시설자금, 비금융상품, 협약자금, 건설공사 브릿지론(연계자금), 인수·합병(M&A) 보증 등을 취급하고 있다. 이 밖에 협약에 의한 특별보증으로 금융기관 특별출연, 대기업·금융기관 특별출연 등이 있다. 유동화 회사보증, 기업별 지원제도, 경영혁신 중소기업 지원제도, 재기지원제도(재기지원보증, 재창업 지원보증) 등도 담당하고 있다.
신용보증기금의 최고 의결기구는 운영위원회로, 기금의 업무 운영에 관한 기본방침을 수립한다. 운영위원은 12인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임기는 2년이다.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외에 기획재정부, 중소기업청, 한국은행, 중소기업은행의 소속 직원과 금융전문가 등으로 구성된다. 신용보증기금은 4부문 11부 4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부조직은 4부문 13부 4실로 구성되어 있다.
현황
기금은 대구광역시 동구 첨단로7에 소재한다. 2023년 12월 기준 2,907명의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2023년 연말 기준 자산총계 15조 2,750억 원, 부채총계 3조 5,362억 원을 기록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
・ 최종 업데이트 2024.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