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900년 1월 20일, 황해도 장연(長淵) |
---|---|
사망 | 1933년 9월 18일 |
관련 사건 | 3차 조선공산당사건 |
주요활동 | 1919년 해서국민회 재무, 1920년 조선인유학생학우회 대표위원, 1925년 일월회 조직, 1926년 정우회 집행위원, 1927년 3차 조선공산당 책임비서 |
포상훈격 | 2011년 건국훈장 애족장 |
관련 인물/단체 | 일월회, 정우회, 조선공산당 |
1900년 1월 20일 황해도 장연군(長淵郡)에서 태어났다. 이명은 김세연(金世淵) 또는 박석(朴石)이다. 본적지는 충청남도 논산군(論山郡) 강경면(江景面) 남정(南町)으로 되어 있지만 황해도 장연(長淵) 사람이다. 장연에서 경애보통학교(敬愛普通學校)를 졸업하고 서울에서 오성학교(五星學校)를 졸업하였다.
이후 고향으로 돌아와 1918년경부터 경애보통학교에서 1년 6개월 정도 교원으로 근무하였다. 1919년 11월 말 장연에서 조직된 임시정부 계통의 해서국민회(海西國民會) 재무(財務)로 활동하였다.
1920년 일본 도쿄(東京)의 와세다(早稻田)대학 정치경제과를 다니며 조선인유학생학우회 대표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졸업 후 1924년 10월 말경 도쿄에서 하필원(河弼源) 등과 함께 한글 인쇄소인 동성사(同聲社)를 설립하였다.
1925년 1월 안광천(安光泉) ・ 한위건(韓偉健) ・ 하필원 ・ 박낙종(朴洛鍾) 등과 함께 일월회(一月會)를 조직하였다. 1926년에는 서울에서 결성된 정우회(政友會)에 참여하여 집행위원이 되었다. 그해 6월 도쿄에서 발간된 『대중신문』에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8월 초 제2차 조선공산당 사건으로 검거되어 예심에 회부되었으나, 예심 결과 면소(免訴)되어 1927년 4월 1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출옥하였다. 출옥 후 함경남도 안변군의 석왕사(釋王寺)에서 요양하였다. 1927년 9월 김준연(金俊淵)이 책임비서로 있던 3차 조선공산당 중앙의 조직부원이 되었고, 그해 11월 김준연의 뒤를 이어 3차 조선공산당의 세 번째 책임비서가 되었다.
김준연으로부터 당의 인장(印章)과 서류를 인계받고, 11월 20일에는 최익한(崔益翰)을 도쿄로 보내 코민테른으로부터 3,300엔의 보조금을 받아오게 하였다. 1928년 1월 초 서울 부근에서 당 대회를 준비하였다. 그러나 당내 분란 등으로 당 대회를 개최하지 못한 채 같은 해 2월 초 김준연 ・ 최익한 ・ 하필원 등과 함께 종로경찰서에 검거되었다.
3월 8일 경성지방법원 검사국으로 송치되고 18일 예심에 회부되었다. 체포 후 1년 9개월 만인 1929년 10월 28일 예심이 종결되어 경성지방법원 공판에 회부되었다. 조사 중 얻은 폐병이 악화되어 12월 9일 병보석으로 출감하였다.
1930년 8월 30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이른바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6년 형을 선고받고 항소하였다. 항소심이 진행 중인 1930년 12월경 경찰의 감시가 소홀한 틈을 타 러시아로 피신하였다. 1931년 2월 26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진행된 궐석 재판에서 원심 그대로 징역 6년 형이 선고되었다.
그해 6월 러시아에서 다시 국내로 돌아와 서울에 머물던 중, 8월 말 시내의 조선교육협회 회관에서 체포되었다. 추가 기소 없이 원래의 형을 그대로 적용받아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었으나, 폐병이 다시 악화되어 1932년 5월 21일 형집행정지로 다시 출감하였다. 상태가 위중하여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하였다가 이후 자택에서 요양하였으나 끝내 회복하지 못하고 1933년 9월 18일 사망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1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집필자 : 박상희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京鍾警高秘 제3870호, 정우회 임시총회에 관한 건」, 1926.4.10, 『思想問題에 關한 調査書類 1』,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被疑者 金世淵 訊問調書」, 1926.8.10, 『李鳳洙治安維持法違反 사건』,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제3차 조선공산당사건 판결문」, 경성지방법원, 1930.8.30
- ・ 「京東警高秘 제3737호의 1, 要視察人 [金世淵]의 所在不明에 관한 건」, 1931.1.17, 『思想에 關한 情報副本』,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昭和5년 刑控 제12호 판결문」, 경성복심법원, 1931.2.26
- ・ 「昭和6년 刑控 제3호 결정」, 경성복심법원, 1931.6.29
- ・ 「京鍾警高秘 제11293호, 要視察人 所在不明에 관한 건」, 1931.9.12, 『思想에 關한 情報綴 1』,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서대문형무소 재소자 신분카드」,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身分帳指紋原紙」, 경찰청
- ・ 「집행원부」, 국가기록원
- ・ 「형사사건부」, 국가기록원
- ・ 『동아일보』 1929.11.21, 12.9, 1931.9.2・13, 1932.5.24・26
- ・ 『매일신보』 1928.2.23・26, 1929.11.2
- ・ 『시대일보』 1924.10.31, 1926.7.11
- ・ 강만길 ・ 성대경 엮음, 『한국사회주의인명사전』, 창작과비평사, 1996
- ・ 김준엽 ・ 김창순, 『한국공산주의운동사』 3, 청계연구소, 1986
출처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인명사전으로> 3.1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하여 그동안 축적된 연구기반 위에서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사전적으로 종합, 정리하기 ..펼쳐보기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김성현 –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독립기념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