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김석현

다른 표기 언어 金晳鉉
툴바 메뉴
요약 테이블
출생 미상, 전라남도 나주(羅州)
사망 1896년
주요활동 1895년 을미의병 참여, 나주일대 활동
포상훈격 2003년 건국훈장 애국장
관련 인물/단체 나주의병(김창균)

전라남도 나주(羅州) 출신으로 출생 연도는 미상이다. 1896년 나주 이학상(李鶴相) 의병부대의 좌익장으로 활동하였던 김창균(金蒼均)의 아들이다. 가문은 나주 지역 향리 출신의 중인 집안이었다.

1895년 단발령과 함께 명성황후가 일본에 의해 잔혹하게 시해당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유생들을 중심으로 토적복수(討賊復讐)를 기치로 한 거의가 전국으로 확산하였다. 전라도에서도 명성황후 시해 소식과 함께 단발령이 단행되자 이에 반발하여 광주의 기우만(奇宇萬)과 장성의 기삼연(奇參衍)이 1896년 3월 의병을 일으켰다. 이때 부친 김창균은 나주에서 거의에 뜻을 함께하는 동지들을 규합하여 의병부대를 결성하였다.

1896년 2월 9일 부친과 함께 뜻을 같이하는 나주 고을 아전과 군교 수백 명을 이끌고 나주 관아를 공격하여 참서관(參書官) 안종수(安宗洙)를 처단하고 곧이어 박(朴) 총순(摠巡)과 여(呂) 순검(巡檢)을 사살하였다. 그리고 박 시찰(視察)과 복(卜) 주사(主事) 등을 체포하여 향교에 모였다. 이곳에서 부친 김창균은 “참서관 및 총순 무리들은 역적의 도당으로서 이제 다 맞아 죽었으니 본 고을의 의병은 처음만 있고 끝이 없어서는 안된다”라고 언급한 뒤 주서(注書) 이학상을 의병장으로 추대하였다.

김창균은 좌익장에 임명되었으며, 참모진은 사인(士人) 나병두(羅秉斗) ・ 전(前) 현감 손응설(孫應契), 중군장 이승수(李承壽), 우익장 박근욱(朴根郁) 등을 각각 정하였다. 그리고 군제를 정하여, 김재환(金在煥) ・ 손상문(孫商文) ・ 장길한(張佶翰) ・ 양인환(梁仁煥) ・ 손신흥(孫信興) ・ 장봉삼(張鳳三)은 군무(軍務)를 맡고, 임홍규(林鴻圭) ・ 송종희(宋鍾熙)는 서기(書記), 유기영(柳畿永)은 통장(統將)이 되었다. 이들은 주변 여러 고을에 통문을 보내 국난 극복을 위한 창의에 동참할 것을 촉구하였다. 이들 의병은 개화파 안종수를 처단하였듯이 반(反)개화 의지를 분명히 하는 한편, 친일 정권에 맞서 의병 활동을 전개해갔다. 하지만 정부에서 파견한 전주진위대 중대장 김병욱(金秉旭) 부대에 의해 의병부대가 와해되었으며, 부친과 함께 붙잡혀 살해당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3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집필자 : 홍동현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 제1권, 1970
  •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자료집』 제3권, 1971
  • ・ 홍영기, 「1896년 나주의병의 결성과 활동」, 『이기백선생고희기념 한국사학논총(하)』, 일조각, 1994

출처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인명사전으로> 3.1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하여 그동안 축적된 연구기반 위에서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사전적으로 종합, 정리하기 ..펼쳐보기

독립기념관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김석현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독립기념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