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강석압

다른 표기 언어 姜錫鴨
툴바 메뉴
요약 테이블
출생 1872년, 함경남도 이원(利原)
사망 미상
주요활동 혈성단에 가입하여 활동하던 중, 1922년경 지단 제1영의 영단장으로 활동
포상훈격 2011년 건국포장
관련 인물/단체 혈성단

1872년경 함경남도 이원군(利原郡)에서 태어났다. 혈성단(血誠團)에 가입하여 러시아 파르티잔스크[蘇城] 일대에 정착하여 독립운동에 진력하였다.

1920년 11월 말 만주 헤이룽장성(黑龍江省) 일대에서 김국초(金國礎) 등을 중심으로 청년들이 모여 혈성단을 조직하였다. 일찍이 혈성단에 가입하여 이듬해 2월 25일 러시아 파르티잔스크 부근에서 한창걸(韓昌傑) 등과 같이 노인들에게 신지식을 전파하고 그들의 상투를 잘라주었다. 파르티잔스크 동쪽에 위치한 약 100호의 한인 마을에서 대원들과 같이 군자금을 모집하였다. 혈성단은 1921년 6월 자유시에서 무장단체 통합 과정 중 이르쿠츠크파와 상해파 간의 투쟁으로 발생한 자유시참변을 겪었다. 1922년경에는 혈성단 지단 제1영의 영단장(營團長)으로 추풍(秋豊) 등지에서 활동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1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집필자 : 김호걸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機密 제29호, 鮮人의 행동에 관한 건」, 1921.4.1,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11)』,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機密 제93호, 間島 및 同 接壤地方에 있어서 排日團體 및 親日團體 調査의 건」, 1922.2.28,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滿洲의 部(32)』,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편, 『한국독립운동사사전(운동 ・ 단체편 Ⅳ)』 7, 독립기념관, 2004
  • ・ 국가보훈처 편, 『독립유공자공훈록』 20, 2012

출처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인명사전으로> 3.1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하여 그동안 축적된 연구기반 위에서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사전적으로 종합, 정리하기 ..펼쳐보기

독립기념관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강석압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독립기념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