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
식정보...

방가지똥

다른 표기 언어 Sow-Thistle
요약 테이블
분류 초롱꽃목 > 국화과 > 방가지똥속
꽃색 노란색, 백색
학명 Sonchus oleraceus L.
개화기 9월, 5월, 6월, 7월, 8월

분포지역

• 한국, 중국, 일본, 중앙아시아, 유럽에 분포한다.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일년 또는 두해살이풀.

크기

높이 30-100cm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거나 남아 있고 밑부분의 잎보다 작다. 밑부분의 잎은 긴 타원형 또는 넓은 거꿀피침모양이며 길이 15-25cm, 나비 5-8cm로서 우상으로 거의 완전히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치아모양톱니가 있으며 톱니 끝이 바늘처럼 뾰족하고 엽병에 날개가 있으며 중앙부의 잎은 이저로서 원줄기를 감싼다.

꽃은 5-9월에 피고 지름 2cm이며 꽃차례는 거의 산형 비슷하고 화경은 길이 1.5-5.5cm로서 샘털이 있다. 총포는 길이 11mm, 나비 12-18mm로서 꽃이 핀 다음 밑부분이 커지며 포편은 3-4줄로 배열되고 능선을 따라 샘털이 있으며 외편은 길이 3.5-4.5mm, 중편은 길이 6mm, 내편은 길이 9mm이다. 꽃부리는 황색 또는 백색이고 길이 11-12mm, 지름 1mm정도이며 판통은 길이 6mm로서 백색 털이 있다. 꽃은 모두 혀꽃이다.

열매

수과는 갈색의 거꿀달걀모양이며 길이 3mm로서 양면에 각각 3개의 능선이 있고 관모는 백색으로 길이 6mm이며 9-10월에 익는다.

줄기

높이 30-100cm이며 줄기는 원주형으로서 속이 비고 세로로 능선이 있는 회록색 또는 녹자색인데 어려서는 분질로 덮이며 털이 없거나 윗부분에 샘털이 있다.

뿌리

뿌리는 방추형이다.

생육환경

들에서 자란다.

용도

• 어린순을 나물로 한다.
• 염료 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 줄기째 잘라 이용한다. 염액의 색에 비해 옅게 물들어서 반복 염색하였다. 매염제에 대한 반응은 좋은 편이다.
• 全草(전초)는 苦菜(고채), 根은 苦菜根(고채근), 花(화)와 종자는 苦菜花子(고채화자)라 하며 약용한다.
⑴苦菜(고채)
①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 또는 그늘에서 말린다.
②약효 : 淸熱(청열), 凉血(양혈), 해독의 효능이 있다. 이질, 황달, 血淋(혈림), 痔瘻(치루), 정종, 毒蛇咬傷(독사교상)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달이던가 즙을 내던가 가루를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낸 즙을 바르던가 달인 液(액)으로 熏洗(훈세)한다.
⑵苦菜根(고채근)
①약효 : 血淋(혈림)을 치료하고 利小便(이소변)의 효능이 있다.
②용법/용량 : 신선한 것은 30-45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⑶苦菜花子(고채화자) - 꽃은 中熱(중열)을 없애며 心神(심신)을 편하게 한다. 황달증을 치료할 때는 蓮花子(연화자)를 고운 가루로 만들어 6g을 달여서 1일 2회 복용한다.

특징

전체에 유백색 유즙이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전체항목 도서 소개

국립수목원에서 제공하는 우리나라 생물종 지식정보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식물

식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5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방가지똥

가을에 피는 꽃

추천항목


[Daum백과] 방가지똥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