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야 | 인공지능 |
---|
민스키가 1975년에 고안한 지식표현에 관한 하나의 틀. 인간은 사물에 관한 지식을, 몇 가지 속성-속성값대에 의한 단순한 특징표현으로서 뿐만 아니라, 전형적인 존재 환경, 움직임, 관점 및 겉보기 모양 등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틀(프레임)로서 기억하고 있다. 프레임은 프레임명(framename)과 슬롯이라고 불리는 몇 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모식적으로는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가지며, Lisp에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리스트 구조로 표현된다.
(PA 회의
(종류 (값 (일반회의)))
(일시 (암묵값 (매주 금요일)))
(장소 (암묵값 (AI 연구실)))
(목적 (값 (PA 프로젝트를 위해)))
(출석자 (암묵값 (김, 이, 박)))
)
슬롯은 프레임이 나타내는 사물의 여러 속성(위의 예에서는 일시, 목적 등)과 그 값(슬롯값), 그리고 관련되는 다른 사물과의 관계 등을 그 내용으로 한다. 프레임은 지식표현으로서 비교적 새로운 것인데, 최근의 인공 지능 시스템에 있어서는 프로덕션 시스템과 함께 많이 이용되고 있다. 엑스퍼트 시스템 개발 도구 등에서는 문제에 따라 이들을 선별해서 사용하기도 하고 양자를 통합해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많이 볼 수 있다(하이브리드 지식 표현 참고). 〈참조어〉 스크립트, 디폴트 값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컴퓨터/정보통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프레임 – 컴퓨터 정보용어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