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야 | 정보통신 |
---|
복수의 프로세서가 동일한 공용자원에 접근을 시도할 때에 생기는 경합을 제어하고 해결하는 것. 일반적으로는 접근하는 권리를 시간적으로 제한하는 상호배제와 시스템 전체에서의 접근의 순서정하기를 실현하기 위한 동기라고 하는 개념이 쓰이는데, 특히 분산 시스템에서는 각 사이트가 시스템의 통일적 뷰(분산 시스템 참고)를 가질 수 없으므로 순서 정하기의 실현이 어렵다. 순서 정하기의 실현에는 순서기, 티케팅, 논리 클록(논리 클록 동기 참고) 등에 의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공용자원으로서 데이터 베이스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다른 사이트에 격납된 임의의 데이터 항목의 카피 내용을 동일하게 가지는 것을 포함하여 데이터의 논리적인 수미일관성을 보증할 필요가 있으며, 단순한 접근의 순서정하기만으로는 불충분하다. 그것 때문에 데이터의 논리적인 수미일관성을 고려한, 판독·기록 조작의 순서정하기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병행처리제어방식). 〈참조어〉 분산 병행처리(데이터 베이스의)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컴퓨터/정보통신
컴퓨터/정보통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병행처리제어 – 컴퓨터 정보용어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