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야 | 데이터 베이스 |
---|
분산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에 대한 병행처리. 집중 데이터 베이스에 비해서 다음과 같은 문제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
① 병행처리 제어에 관한 정보 전송량의 감소,
② 시스템 전체의 동기,
③ 데이터의 복사의 존재.
① 의 존재에 의해 일반적으로 병행처리 단위로서 취급되는 데이터는 집중형보다 크게 되는 경우가 많다. 집중국 방식(centralized site method) 이라고 불리는 것은 병행처리에 관해서는 1개의 국에서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집중형 시스템과 같이 간단하지만 병행처리 제어에 관한 정보의 전송량이 많다는 결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각 데이터 단위는 각각 특정한 국으로 모아서 변경시키는 경우가 많으므로 각 데이터마다 병행 처리 제어를 행한 국을 정할 수 있다. 이 방식을 주국방식(primary site method)이라고 한다.
시각인 순서부착에서는 각 국의 시각인의 동기가 필요하게 된다. 어느 국이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그 국의 시각인을 붙여서 송출하여 이 정보를 수취한 국이 같은 데이터에 대하여 그것보다 작은 시각인을 갖는다면, 수신한 시각인으로 변경하는 방식에서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집중형에서 이용되는 각 방식은 상기의 조건을 고려하여 분산형으로 확장할 수 있다. 데이터의 복사가 존재하는 경우의 기본적 방법은 판독에는 판독 코스트가 가장 적은 복사를 이용하고, 기록은 모든 복사에 대하여 행하는 방법이다.
이미 1개의 방식으로서 다수결 방식(majority method)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판독에도 기록에도 전복사의 과반수를 확보한 경우에 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일부의 데이터에는 기록의 결과가 반영되지 않는 것으로서 기록의 종료 후에 순차 변경할 때 이 사이의 판독은 변경된 복사 속에 변경 전의 값이 있어도 문제는 없다. 복사의 확보에는 시간이 관계되므로 후자의 방식은 기록(갱신)이 많은 경우에 유효하다. 〈참조어〉 병행처리 제어 방식(데이터 베이스의), 분산질문처리, 주국방식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컴퓨터/정보통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분산 병행처리(데이터 베이스의) – 컴퓨터 정보용어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