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생활 속 건

유통기한이 지난 약, 복용하면 위험

다른 표기 언어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음식의 유통기한에 대해서는 민감한 편이지만 약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
집집마다 소화제나 해열제 같은 약은 물론이고 복용을 중단한 약들도 버리지 않고 보관하는 경우를 종종 발견할 수 있다. 제약회사들은 약의 유통기한을 생산일로부터 보통 2~3년 이내로 정한다. 그렇다면 유통기한이 지난 약을 복용하는 것은 괜찮을까? 이 문제는 약 성분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지난 약을 복용하면 위험하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그렇다면 유통기한이 지난 약의 효능은 어떨까?
미국의 FDA-국방부의 사용기간 연장프로그램(Shelf Life Extension Program)에 의하면 군부대 시설에 보관되어 있던 포장을 뜯지 않은 96종류의 약(藥) 1,122개를 테스트 한 결과, 84%의 약이 유통기한 후 평균 57개월 동안 효능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른 연구에서는 항인플루엔자 약인 아만타딘과 리만타딘이 보관 후 25년이 지난 후에도 완벽하게 효능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외도 있다. 니트로글리세린은 6개월에 한 번씩 교체해줘야 하며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제)은 유통기한이 지나면 약효가 사라진다. 또한 경구투여 감기약과 같은 액체로 된 약물은 알약이나 가루로 된 약보다 유통기한에 더 민감하다.

하지만 이 결과만 믿고 유통기한이 지난 약을 복용하는 것은 위험하다. 연구 대상이었던 약들은 밀폐된 용기에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서 최적의 상태로 보관이 된 약들이다. 만약을 위해서라도 유통기한이 지난 약들은 모두 버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냄새 또는 맛이 이상한 경우에는 절대로 복용하면 안 된다. 집안에 개봉 후 오랫동안 방치해둔 약이 있다면 당장 처분하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이다.

ⓒ 서울아산병원 생활과 건강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 Harvard Men's Health Watch, August 2009
  • ・ 양선희(번역 및 정리)

출처

서울아산병원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유통기한이 지난 약, 복용하면 위험생활 속 건강, 서울아산병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