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조선후기 |
---|---|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791호 |
성격 | 불상 |
유형 | 유물 |
크기 | 아미타여래상(본존) : 높이 149.5㎝, 무릎너비 96.9㎝관음보살상(좌) : 높이 177.5㎝ 대세지보살상(우) : 높이 174.2㎝ |
재질 | 목조 |
제작시기 | 1610년 |
분야 | 예술·체육/조각 |
소장/전승 | 경기도 여주군 신륵사길 73, 신륵사 |
요약 경기도 여주군 신륵사에 있는 조선시대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개설
201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신륵사 극락보전에 봉안된 목조아미타여래좌상으로, 불상 내부에서 복장원문이 발견되어 1610년에 조각승 인일(仁日)과 수천(守天)에 의해 제작되었음이 밝혀졌다. 정확한 조성시기와 새로운 17세기 초 조각승의 발견으로 중요한 가치가 있는 작품이다.
내용 및 특징
신륵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좌우에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상이 서 있다. 이들 삼존상은 장방형 얼굴과 세장한 신체비례, 금엄하면서도 단정한 인상, 협시보살상의 각각 다른 착의 형식 등이 특징이다.
아미타여래좌상은 중품하생인을 하였으며 얼굴과 목이 길고 어깨와 무릎은 넓어 전체적으로 길쭉하면서도 비례가 안정적이고 자세는 당당하다. 머리에는 육계가 유난히 높게 올라가 독특하고 정수리에는 정상계주를 표현하였으며 큼직한 나발을 빼곡히 조각하였다. 긴 얼굴은 눈두덩이가 두터운 좌우가 긴 눈, 기다란 코, 작지만 도톰한 입술 등을 표현하여 근엄하고 이국적인 인상을 풍긴다. 특히 아랫눈꺼풀을 바깥 방향으로 굴곡지게 나타내거나 인중을 돌출되게 표현하고 입술 양 끝을 오목하게 패도록 조각하여 얼굴의 입체감을 더하였다. 곧고 긴 목에는 삼도를 명확하게 표현하였다. 착의법은 오른쪽 팔에 편삼을 두르고 그 위로 대의를 걸친 변형 통견식으로 목깃이나 옷주름 등이 두껍고 간결하며 두 다리 사이의 옷은 그 끝을 각지게 주름잡아 딱딱한 인상을 준다.
보살상들은 긴 신체비례나 얼굴 표현 등에서는 본존불상과 유사하지만 착의법이나 화려한 보관과 장신구의 표현에서 차이를 보인다. 좌측의 관음보살상은 양 손을 배 부분에 두어 무언가를 쥐고 있었던 형상이며 어깨 위를 덮고 흘러 내린 천의는 팔목을 감아 길게 내려와 있다. 허리에서 무릎 아래에는 화려한 장식을 걸쳤으며, 무릎 부분에는 띠로 묶어 위아래를 볼록하게 표현하는 등 이례적인 표현을 보인다. 우측의 대세지보살상은 본존과 손모습이나 옷 주름의 표현에서 닮은 모습을 보이는데, 특히 변형 통견식 대의라든지 두터운 목깃 등이 유사하다. 전체적으로 간결한 옷 주름을 보이지만 주름에 변곡을 주어 입체적으로 처리하고자 하였다. 보살상의 머리카락 표현을 보면 관음은 어깨 위에 여러 가닥의 보발이 흘러내리지만 대세지보살은 생략하는 등 두 협시보살상의 표현에 차이를 둔 점도 특징이다. 장식은 두 보살상이 거의 같은데 귀에는 큰 화형 귀걸이를, 가슴에는 둥근 화형문에 구슬이 달려 있는 간결한 형태의 목걸이를 착용하였다.
좌상의 여래, 입상의 보살로 이루어진 삼존의 구성과 두 협시보살상의 착의법을 달리 표현하는 사례로는 1603년 안성 청룡사 소조석가여래삼존상(보물, 2012년 지정), 1620년 약수선원 목조보살입상 등이 있어 17세기 전반기의 특징이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여주 신륵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은 1610년 백 여명이 넘는 승속인들이 발원한 불상으로 원 봉안처, 제작시기, 제작자가 명확하여 17세기 초기 불교조각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유난히 높은 육계, 이국적인 얼굴, 옷 주름 표현의 독창성 등 다른 불상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조형적 특징을 보이는 작품이다. 그리고 불상을 만든 조각승 인일(仁日)은 이 불상을 통해 처음 소개된 조각승으로 주목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한국의 사찰문화재-인천·경기』(문화재청·(재)불교문화재연구소, 2012)
- ・ 『조선후기 불교조각사』(송은석, 사회평론, 2012)
- ・ 『조선후기 조각승과 불상 연구』(최선일, 경인문화사, 2011)
- ・ 문화재청(www.cha.go.kr)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여주 신륵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