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근대 |
---|---|
창작/발표시기 | 조선 말기 개항 이후 |
성격 | 문서, 여행증명서 |
유형 | 문헌 |
간행/발행 |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외부) |
분야 | 종교·철학/천주교 |
요약 개항기 이후 통리기무아문에서 우리나라를 여행하고자 하는 외국인들에게 발급한 문서. 여행증명서.
내용
‘행장(行狀)’이라고도 하는데, 외국인들의 신청을 받아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과 외부(外部, 1895년 이후)에서 발급하였다.
사용기간은 보통 6개월로, 여행자의 성명·신분·여행지 등이 명시되어 있고, 한 사람에게 한 장이 발행되었으나 2인 이상이 같은 지역을 여행할 때에는 한 장으로 처리되었다.
호조의 발급료는 1인당 동전 15냥이었고, 이것을 지닌 자는 개항지가 아닌 곳에도 여행할 수가 있었으므로 당시 조선에 와 있던 프랑스선교사들은 이를 이용하여 전국각지를 돌아다니며 선교활동을 하였다. 프랑스인이 지닌 호조에는 1886년에 맺은 조불수호조약의 내용 일부가 수록되어 있다.
한편, 우리나라가 서양 여러 나라와 수호조약을 맺고 청나라와도 무역 통상 장정(貿易通商章程)을 맺은 뒤로는 외국상인들이 내륙지방에 상품을 운반하여 판매하는 상행위를 하는 데 이를 자주 이용하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한국교회사(韓國敎會史)의 탐구(探究)』(최석우, 한국교회사연구소, 1982)
- ・ 『한국개화사연구(韓國開花史硏究)』(이광린, 일조각, 1974)
- ・ 『한국개항기(韓國開港期)의 상업연구(商業硏究)』(한우근, 일조각, 1970)
- ・ 「조중상민수륙무역장정(朝中商民水陸貿易章程)에 대하여」(『역사학보』32, 1966)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호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