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1

다른 표기 언어 初雕本 顯揚聖敎論 卷十一 동의어 현양론, 광포중의론(廣苞衆義論)
요약 테이블
시대 고려
유형 문헌
분야 종교·철학/불교

요약 고려전기 『현양성교론』의 한역본을 현종 연간에 간행한 불교경전. 논서·번역서.

내용

1988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1권 1축. 목판본. 『현양성교론』은 약칭 ‘현양론’이라고 하며, ‘광포중의론(廣苞衆義論)’이라고도 하는데, 법상종(法相宗) 십일론(十一論)의 하나로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의 중요한 내용을 널리 펴기 위하여 저술한 것이다.

당나라 현장(玄奘)이 왕의 명으로 번역하여 경함(慶函)부터 척함(尺函)까지 20권을 수록하였는데, 그 가운데 척함에 들어 있던 권11이 전래된 것이다. 이 초조본은 처음 발견된 것으로, 전체 15장이며 저지(楮紙)로 되어 있다. 감색표지(紺色表紙) 끝에 표죽(裱竹)이 달려 있고, 그 중앙에 금(金)·담황(淡黃)·녹(綠) 3색의 권서(卷緖: 책 끈)가 매여 있으며, 겉에는 제첨(題簽: 제목)이 금서(金書)되어 있다. 또한 본문이 담긴 지장(紙張)이 모두 완전하다. 표지·제첨·권서·지질·각자(刻字)·묵색(墨色) 등에서 초기의 원형을 살펴볼 수 있으며, 11세기에 간인(刊印)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판본은 재조본(再雕本)과 비교해볼 때 몇 가지 차이점이 발견된다. 첫째, 판식(版式)에 ① 초조판은 판제(板題)의 권(卷)·장(丈)·함차(函次) 표시가 본문 앞의 여백에 새겨지고 그 중 장차 표시에는 ‘丈(장)’자가 쓰이고, 재조판은 그것이 각각 본문 끝에 새겨지고 ‘張(장)’자가 사용되고 있으며, ② 초조판은 간기(刊記)가 생략되어 있으나 재조판은 권미제(卷尾題) 다음에 ‘임인세고려국대장도감봉칙조조(壬寅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의 간기가 표시되어 있다. 둘째, 판각술(板刻術)에는 초조본이 재조본에 비하여 더욱 정교하다는 점이다.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동산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動産文化財指定調査報告書)』-88 지정편(指定篇)-(문화재관리국, 1989)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고려 문화재

추천항목


[Daum백과]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1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