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표옹유고

다른 표기 언어 瓢翁遺稿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저작자 송영구(宋英耈)
창작/발표시기 정조 말
성격 시문집
유형 문헌
권수/책수 3권 1책
간행/발행 송문술
분야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각 도서, 고려대학교 도서관

요약 조선시대 문신 송영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정조 말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활자본. 정조 말에 7대손 문술(文述)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종수(金鍾秀)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민보(李敏輔)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권1·2에 시 270수, 잡저로 부(賦)·상량문·서(序)·지(誌) 각 1편, 서(書) 2편, 권3에 부록으로 연보 1편, 사제문(賜祭文) 1편, 만(挽) 23편, 신도비명 1편 등이 있다.

시는 오언과 칠언으로 절구·율시·배율·고시 등 다양한 시체(詩體)로 되어 있다. 제목이 없는 칠언절구 16수에서 특히 고상하고 격조 높은 시상을 엿볼 수 있다. 오언배율 중 「계심(戒心)」에서는 ‘무자기(無自欺)’라는 세 글자를 수양 공부의 좌우명으로 삼았음을 알 수 있다.

칠언고시 중 「유연견남산(悠然見南山)」은 진(晉)나라 도잠(陶潛)이 벼슬을 버리고 돌아갈 때 여유롭게 남산을 바라보고 마음속으로 기뻐하며 그 유거(幽居)의 정취를 읊은 잡시에서 따온 시제이다. 이는 1606년(선조 39) 51세 때 벼슬을 사양하고 향려(鄕廬)로 돌아갔다가, 이듬해 4월에 성주목사에 제수되어 6월에 부임하면서 지은 시이다. 도잠의 높은 절개를 찬탄하며 그렇지 못한 자신의 부끄러움을 서술한 대표적인 작품이다.

「목동가(牧童歌)」나 「사산중(思山中)」에서도 작자의 그윽한 정취를 찾아볼 수 있다. 벼슬을 버리고 돌아가고 싶어도 돌아갈 수 없어 상심하는 정황을 그려내고 있다.

잡저의 「유연지(留硯誌)」는 길이 여섯 치, 너비 세 치의 참으로 구하기 힘든 마간석 벼루를 얻게 된 일을 기록한 것이다. 마간석(馬肝石)은 벼룻돌[硯石]로 유명하고 응청각(凝淸閣)은 명승지로 일컬어진다.

이 유고는 200여 년이 지난 뒤 수습, 간행되어 수록된 시문이 많지 않다. 저자는 당시 이항복(李恒福)·황신(黃愼)·이정구(李廷龜) 등과 왕실을 보좌한 일대 명류였으므로 참고할 만하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2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표옹유고


[Daum백과] 표옹유고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