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평양가

다른 표기 언어 平壤歌
요약 테이블
저작자 미상
성격 십이잡가
유형 작품
분야 문학/고전시가

요약 십이잡가의 하나.

구성 및 형식

4내지 5연으로 분절할 수 있는 사랑의 노래이다.

내용

제1연은 임을 따라 부모·동생 다 버리고 둘이 갈까를 노래한 것이며, 제2연은 평양성내에 불이 붙었는데 월선이 집에 불이 붙을까 하는 염려를 노래하였다.

제3연은 월선이 집에 놀러 갔더니 월선이가 소매를 잡고 들어가자고 노래하였고, 제4연은 붙잡았던 직령소매가 떨어진다고 노래하였고, 이를 감쳐주겠다고 노래하였다. 제4연을 둘로 나누면 5연이 되고 붙이면 4연으로 볼 수 있다.

3음보격을 형성한 행이 많으며, 표현 가운데 웃음을 중첩한 것이 특이하다. 곧 “가리 갈가보다”, “동이 동떨어진다”, “가리 감쳐줌세”와 같은 표현은 다른 노래에 흔히 보이지 않는 것들이다.

의의와 평가

임과의 사랑, 월선이라는 유녀와의 관계는 대체적으로 연정을 읊은 것이나 이렇게 분절되며 분절되는 각 연은 일부가 전후 관계를 가지되 일부는 가지지 않는다는 게 특이하다.

음악은 별로 시김새가 없이 그저 평담(平淡)하게 불러나가는 소리로서 고졸(古拙)한 맛, 즉 오래된 옛스런 맛이 나는 소리이다. 장단은 6박자 도드리 장단이요, 11마루로 되어 있다. 솔-라-도-레-미의 5음음계로 된 서울소리로서, 비교적 들축날축이 없는 유절형식(有節形式, strophic)으로 되어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한국잡가대전집(韓國雜歌大全集)』(정재호, 계명문화사, 1984)
  • ・ 『한국가창대계(韓國歌唱大系)』(이창배, 홍인문화사, 1976)
  • ・ 『국악개론(國樂槪論)』(장사훈.한만영, 한국국낙회, 1975)
  • ・ 『십이잡가(十二雜歌)』(한만영, 한국국악학회, 1967)
  • ・ 『국악개요(國樂槪要)』(장사훈, 정연사, 1961)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평양가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