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조선 |
---|---|
저작자 | 미상 |
성격 | 불교가사 |
유형 | 작품 |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요약 작자·연대 미상의 불교가사.
구성 및 형식
국문필사본.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두 190행이다. 탁발승이 한개의 표주박을 차고, 삿갓을 쓴 채 혼자 떠돌아다니며 걸식하다가 덕행을 원만히 마친 뒤에 장안대도에 나서니 탁연독존(卓然獨尊: 높이 뛰어나 홀로 존귀함.)은 나뿐이라고 노래한 작품이다.
또, 인왕산·종남산·한강수 등 장안의 풍물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온갖 인물들이며, 특히 병신들을 부르면서 법경(法境)을 멀리 두고 속세에 헤맴을 불쌍히 여기면서, 남의 고행을 비방하지 말고 불제자가 되어보자고 권면한 노래이다.
내용
처음과 끝부분은 다음과 같다.
“여시문법 호오니/졔불만덕 열반낙은/다겁사욕 고
이요/듕
눌회 화
문은/무량탐욕 불사로다/이갓치 일어시니/난
고
능이
야/자셩불과 셰워 보
……건곤일월 광장명은/어만물지 역여로쇠/상락아졍 거륵
문/어졔불
법가로쇠/허상텬일 허지말고/견셩오도 어셔
야/슈불혜명
야보
/하하 우습고 우습도다.”
의의와 평가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악부(樂府)』에는 「걸승타령(乞僧打令)」이라 하여 타령조의 노래가 있으나 이 작품과는 내용과 형식이 다른 것으로, 탁발승의 입장에서 여러 보살의 이름을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고, 자손들의 수명장수를 빌면서 염불할 것을 권하고, 어서 시주하라는 내용으로 가사작품은 아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한국불교가사전집』(이상보, 집문당, 1980)
- ・ 『한국고시가의 연구」(이상보, 형설출판사, 1975)
- ・ 「불교가사의 연구 하」(이상보, 『명지대학교논문집』3, 명지대학교, 1970)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장안걸식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