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이규영

다른 표기 언어 李奎榮 동의어 검돌
요약 테이블
시대 근대/일제강점기
출생 1890년(고종 27)
사망 1920년
경력 조선광문회 회원, 조선어자전 편찬위원, 중앙학교 교원
유형 인물
직업 학자, 국어학자
대표작 온갖것, 말듬, 한글모죽보기, 한글적새, 읽어리가르침, 현금 조선문전
성별
분야 언어/언어·문자

요약 일제강점기 『한글적새』, 『현금 조선문전』 등을 저술한 학자. 국어학자.

내용

호는 검돌. 경기도 수원 출생. 저자의 유고 『온갖것』에서 자신을 ‘끗없는꼿속땅젊은손’, 유고 『말듬』에서는 ‘끗없는꼿속나라젊은손’이라고 표시하고 있다. 1910년대 주시경파(周時經派) 문법가로서 사전편찬과 국어연구에 공헌한 학자이다.

보성중학교(普成中學校)에서 배우고, 1911년 서북협성학교 후신인 오성학교(五星學校)를 졸업하였다. 이어 여름에 함경남도 함흥에서 교편을 잡고 조선어 및 조선사를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1912년 여름에 조선어강습원에서 주시경에게 배웠고, 한때 경상북도 안동에서 교편을 잡다가, 1913년 9월에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에서 주시경 주재의 조선어자전 편찬에 종사하기 시작하여 김두봉(金枓奉)·권덕규(權悳奎)와 함께 죽을 때까지 계속하였다. 1918년 9월부터 중앙학교 교원을 겸하였다.

유고는 1912∼1913년 경 비망록 『온갖것』, 1913년경 초고 『말듬』, 1907∼1917년 필사 『한글모죽보기』, 1916∼1919년 필사 『한글적새』 6권, 1918∼1919년 교안 『읽어리가르침』, 1920년 7월 『현금 조선문전』(신문관) 등이 전한다.

의의와 평가

『온갖것』에는 희귀한 자료가 기록되었고, 『한글모죽보기』는 1907∼1917년의 국어운동사 자료로서 귀중하다. 특히, 『한글적새』는 미완성본이나 구조언어학적 자료집으로서 중요시되며, 『현금 조선문전』은 출판된 초급용 소문전으로서 널리 교재로 보급되었다.

주요저서인 『한글적새』는 주시경에게서 자라서 김두봉에게서 살찐 후주시경파의 문법이며, 최초로 우리의 기술문법을 시도한 문헌으로서 역사적 가치가 크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역대한국문법대계(歷代韓國文法大系)』(김민수·하동호·고영근 편, 탑출판사, 1983)
  • ・ 『중앙교우회보(中央校友會報)』7(중앙교우회, 1933.11.)
  • ・ 「말듬」(『한국학보』7-2, 1981.6.)
  • ・ 「이규영(李奎榮)의 문법연구」(김민수, 『한국학보』6-2, 1980.6.)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4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현금조선문전


[Daum백과] 이규영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