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엄연곡

다른 표기 언어 儼然曲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저작자 주세붕
창작/발표시기 조선 중종
성격 경기체가
유형 작품
분야 문학/고전시가

요약 조선 중종 때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경기체가.

구성 및 형식

전 7장. 1541년(중종 36)부터 1544년까지 작자가 풍기군수로 있을 때 지었다. 『죽계지(竹溪誌)』와 『무릉잡고(武陵雜稿)』 별집 권8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및 평가

주세붕이 안향(安珦)의 고향에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세우고, 도서를 비치하여 후학의 수학을 돕고, 『죽계지』를 편찬하여 안향의 학문과 뜻을 기리면서, 그 말미에 이 노래를 수록하고 있다.

내용은 도(道)의 현상에 대한 찬탄, 성현에 대한 숭모, 그리고 자신 및 타인에 대한 계감(戒鑑)과 도의 실천에 대한 의지의 표명으로 되어 있다.

그의 다른 경기체가와 마찬가지로 후절(後節)로만 작품이 구성되어 있다. ‘4·4 4·4 偉……景幾何如’의 형태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3장과 5장은 ‘4·4 4·4 偉……景幾何如’가 그 배수(倍數)인 ‘4·4 4·4 4·4 4·4 偉……景幾何如’로 되어 있고, 4장은 ‘4·4 4·4/……’ 또는 그 배수적 발달의 형태가 아닌 3보격의 독특한 장형화 양상을 보여준다. 경기체가 형식의 변모와 붕괴를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죽계지(竹溪誌)』
  • ・ 『무릉잡고(武陵雜稿)』
  • ・ 「경기체가(景幾體歌)의 구조연구(構造硏究)」(성호경, 『국문학연구』 49, 서울대학교국문학연구회, 1980)
  • ・ 「별곡체가연구(別曲體歌硏究)」(김창규, 『국어교육연구』 Ⅲ·Ⅴ·Ⅵ, 경북대학교사범대학국어교육연구회, 1971·1973·1974)
  • ・ 「고려가요(高麗歌謠)의 연구(硏究)」(이명구, 신아사, 1973)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엄연곡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