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애국금차회

다른 표기 언어 愛國金釵會
요약 테이블
시대 근대
설립 1937년 8월 20일
성격 친일단체
유형 단체
설립자 김복완, 엄채덕, 김옥교
분야 역사/근대사

요약 1937년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친일 단체.

내용

1937년 8월 20일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강당에서 조직되었다. 회장은 윤덕영(尹德榮)의 아내 김복완(金福緩)이며, 일제 수작자(受爵者)들의 아내와 조성근(趙性根)·박두영(朴斗榮) 등 친일 고급장교의 아내, 친일파 민원식(閔元植)의 아내요 엄비(嚴妃)의 질녀인 엄채덕(嚴彩德), 천향원(天香園) 여사장 김옥교(金玉嬌), 기타 상류층 부녀와 중견 여류에 의해서 조직되었다.

총독부의 중앙정보위원회가 사주해서 탄생된 이 단체는 금비녀 등 금제 장신구의 헌납과 군인환송연·위문 기타 ‘황군’원호의 강화를 설립목적으로 하였다.

이리하여 결성식 석상에서만 금비녀 11개, 금반지 3개, 금귀개 2개, 은비녀 1개와 현금 889원 90전을 갹출, 헌납하였다. 이 헌납광경을 김은호(金殷鎬)는 동양화 표제 「금채헌납」으로 작품화해서 총독 미나미(南次郎)에게 증정하였다.

1937년 9월 20일, 회장 김복완의 집에서 첫 간사회를 열고 간사 50명으로 10개반을 편성, 용산육군병원과 일본군 유가족 가정 500호를 위문하는 등의 활동을 벌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일제침략과 친일파』(임종국, 청사, 1982)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근세/근대

근세/근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애국금차회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