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조선 |
---|---|
저작자 | 중종(中宗) 수명편(受命編) |
창작/발표시기 | 1507년(중종 2) |
성격 | 교서, 공신교서 |
유형 | 문헌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요약 1507년 문신 신은윤을 정국공신 4등에 책록한 교서. 공신교서.
내용
정국공신은 중종반정에 공이 있는 신하에게 내려준 공신호(功臣號)로서, 1등에 박원종(朴元宗)·성희안(成希顔)·유순정(柳順汀) 등 7인, 2등에 13인, 3등에 31인, 4등에 63인 등 114인이 기록되어 있는데, 신은윤은 4등에 들어 있다.
이 문서의 구성을 보면 기두(起頭)에 '敎奮義靖國功臣嘉善大夫鷲山君辛殷尹王若曰云云'(분의정국공신 가선대부 취산군 신은윤에게 왕이 말하기를······內容)
이라 하고, 내용에는 신은윤을 정국공신 4등으로 책록하는 연유를 들고, 이에 따른 은전(恩典)을 표시하였고, 그 뒤에 1등에서 4등에 이르는 모든 공신의 이름을 기록하고 있다.
신은윤에게 내린 은전의 내용은 도형(圖形 : 초상화를 그림)하고, 그 부모와 처자에게 작(爵)을 주며, 적장(嫡長)은 세습하며 그 녹(祿)을 잃지 않게 하고, 유(宥)는 영세(永世)에 미치게 한다고 하였으며, 반당(伴儻) 2인, 노비 4구, 구사(丘史) 1명, 전(田) 40결(結), 은(銀) 10냥, 표리(表裏) 1감, 말 1필을 내린다고 하였다.
그런데 이 교서에는 정국1등공신이었던 유자광(柳子光)의 이름이 빠지고 공신명과 은전의 내용에 변동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유자광이 공신호를 삭탈당한 뒤인 1508∼1513년 사이에 다시 발급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 발급연월은 처음 교서를 발급할 때의 그것을 그대로 써준 것으로 추정된다. 보(寶)는 시명지보(施命之寶)를 찍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조선사료집진(朝鮮史料集眞) 속(續)』 2(조선사편수회, 1931)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신은윤정국공신교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