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신경향파문학과그문단적지위

다른 표기 언어 新傾向派文學─文壇的地位
요약 테이블
시대 근대
저작자 박영희
창작/발표시기 1925년
성격 평론
유형 작품
분야 문학/현대문학

요약 박영희(朴英熙)가 쓴 평론.

개설

1925년 12월호인 『개벽(開闢)』 64호에 발표되었다. 이 글을 쓰기 이전 박영희는 개벽사에 입사하였고 또한 프로문학운동에 열을 올리기 시작하였다. 『개벽』 64호에는 이 글 이외에도 「준비시대에 있는 바로로프의 부정적 정신(否定的精神)」이 실려 있다. 이로 미루어보아도 그의 프로문학에 대한 열기가 짐작된다.

내용

이 글은 전편이 여섯 개의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먼저 1에서 3까지의 부분에서 박영희는 부르주아문학의 배제와 프로문학의 전개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하였다.

“이제 우리는 그와 같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오랫동안 고민하던 조선을 해방하자! 따라서, 그 외피(外皮)를 뒤집어쓰고 흐느적거리던 문학을 해방하자!…… 기형적으로 발달한 부분적 생활을 마취시키는 문학은 말고 생활의 수평적 향상을 위한 민중적 문학을 건설할 때가 이르렀다. 이것으로 전조선은 보조를 같이하여야 한다.”라고 주장한다.

이어 이른바 민중적 문학의 보기로 김기진(金基鎭)의 「붉은 쥐」(『개벽』, 1924.11.), 조명희(趙明熙)의 「땅속으로」(『개벽』, 1925.3.), 이익상(李益相)의 「광란(狂亂)」(『개벽』, 1925.3.), 이기영(李箕永)의 「가난한 사람들」(『개벽』, 1925.5.), 주요섭(朱耀燮)의 「살인」(『개벽』, 1925.6.), 최학송(崔鶴松)의 「기아와 살육」(『조선문단』, 1925.6.), 이상화(李相和)의 「가상(街相)」(『개벽』, 1925.5.) 등을 예로 들고 있다.

또한 박영희의 「전투」(『개벽』, 1925.1.), 박길수(朴吉洙)의 「땅파먹는 사람들」(『개벽』, 1925.7.), 송영(宋影)의 「늘어가는 무리」(『개벽』, 1925.7.), 최문(崔文)의 「두 젊은 사람」(『개벽』, 1925.8.) 등을 손꼽았다. 그에 따르면 이들 작품은 명백히 종래의 부르주아문학과는 다른 고민이 담겨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내용이 파괴·살인·조소에 그치고 있어서 불만이라고 보았다. 박영희는 여기서 신경향파문학이 계급과 생사를 같이하는 투사의 문학으로 탈바꿈해야 한다고 말하며, “무산계급문학의 문사는 문학에만 머무르고 있는 것이 아니라, 계급 그것과 생사를 같이하지 않으면 아니 될 제3선상(第三線上)에 서 있는 투사인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라고 하였다. 이 글을 비롯하여 이 시기 발표된 박영희와 김기진의 일련의 글들은 이후 우리 문단에 큰 영향을 준 프로문학의 발전을 이끌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한국근대시사』(김용직, 새문사, 1983)
  • ・ 『식민지시대의 비평문학』(김시태 편, 이우출판사, 1982)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신경향파문학과그문단적지위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