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솔진와집

다른 표기 언어 率眞窩集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저작자 문도언
창작/발표시기 1943년
성격 시문집
유형 문헌
권수/책수 2권 1책
간행/발행 문석룡, 문석린
분야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고려대학교 도서관

요약 조선후기 학자 문도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43년 후손 석룡(錫龍)·석린(錫麟)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성규(金晟奎)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교신(李敎新)·정행록(鄭行祿)과 석룡·석린의 발문이 실려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30수, 권2에 기(記)·서(序) 각 1편, 잡저 3편, 행록(行錄) 6편, 부록으로 효행운(孝行韻)·솔진와기(率眞窩記)·솔진와잠(率眞窩箴)·솔진와송(率眞窩頌)·가장(家狀)·행장·묘갈명·세계원류도(世系源流圖)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성리학적 사유를 표현한 교훈적인 것이 많은데, 오언절구 5수는 「거경(居敬)」·「충서(忠恕)」·「원천(源泉)」·「자경(自警)」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칠언절구에도 천지만물의 생성과 형상을 성리학적으로 해석한 「천지(天地)」·「음양(陰陽)」 등과 성현의 격언에서 스스로 경계하고자 지은 「성학경조(聖學警調)」 등 교훈적인 내용의 시가 있다.

기의 「월암도기(月巖島記)」는 도서지방의 빼어난 경관을 서정적으로 그린 것이며, 「수목계서(修睦契序)」는 계의 상호부조적 측면을 강조하고 친목을 도모한 글이다. 잡저는 「근검설(勤儉說)」·「독서설(讀書說)」 등 설 2편과 「가훈명보(家訓明寶)」로 이루어졌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3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솔진와집


[Daum백과] 솔진와집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