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서궁일록

다른 표기 언어 西宮逸錄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저작자 미상
성격 역사서, 일록
유형 문헌
권수/책수 6책
분야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국립중앙도서관

요약 조선후기 제15대 왕 광해군 때의 인목대비폐출에 관하여 올린 소 등을 모아 엮은 역사서. 일록.

내용

6책. 필사본. 편자와 필사연대는 미상이다. 3책 전반부에서부터 필체가 달라진 것으로 보아 두 사람이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을 당하여 세자책봉 문제가 제기되고 이어 광해군을 세자로 책립한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후일 대비폐출사건에 관련된 여러가지의 일들을 『하담록(荷潭錄)』·『서궁일기(西宮日記)』·『동각산록(東閣散錄)』·『사옹만록(思翁漫錄)』·『정원일기(政院日記)』와 개인의 차자(箚子) 등에서 뽑아 정리하였다.

영의정 유영경(柳永慶)을 탄핵하는 정인홍(鄭仁弘)의 상소문과 이에 반박하는 유영경의 차자 등, 이들의 대립에서부터 시작하여 이후 여러 사람들이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위와 관련하여 올린 소(疏)·계(啓)·수의(收議) 등을 대체로 날짜 순서에 따라 모아 적었다.

광해군 때의 당쟁과 정치적인 분위기를 파악하기에 좋은 자료이지만 객관성을 요하는 부분도 많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하담록(荷潭錄)』

『서궁일기(西宮日記)』

『동각산록(東閣散錄)』

『사옹만록(思翁漫錄)』

『정원일기(政院日記)』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3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서궁일록


[Daum백과] 서궁일록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