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조선 |
---|---|
저작자 | 김익동 |
창작/발표시기 | 1917년 |
성격 | 예서 |
유형 | 문헌 |
권수/책수 | 6권 4책 |
간행/발행 | 김정교 |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
요약 조선후기 학자 김익동이 『가례』의 상례와 제례를 대상으로 제가의 설을 인용하여 해설한 예서.
내용
6권 4책. 목판본. 1917년 손자인 정교(正敎)에 의해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돈우(李敦禹)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배극소(裵克紹)의 후서와 조병직(曺秉直)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수에 5개항의 범례에 이어 도표(圖表) 8종, 축문식(祝文式) 58종, 서소식(書疏式) 12종 등이 수록되어 있고, 권1에 통례(通禮), 권2∼5에 상례, 권6에 제례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수의 도표는 대개 복제(服制)에 관한 것으로 「본종오복지도(本宗五服之圖)」를 비롯해 「삼상강복지도(三殤降服之圖)」·「외당처당복지도(外黨妻黨服之圖)」·「처위부당복지도(妻爲夫黨服之圖)」 등으로 되어 있다. 축문식에는 각종 고사(告辭) 20종과 축문 38종이 있다.
권1의 통례는 주로 사당(祠堂)에 관해 쓴 것이다. 권2∼5의 상례는 초종(初終)·습(襲)·소렴(小斂)·대렴(大斂)·성복(成服)·조석곡전(朝夕哭奠)·조전부(弔奠賻)·문상(聞喪)·치장(治葬)·견전(遣奠)·주과포혜(酒果脯醢)·반곡(反哭)·우제(虞祭)·부(祔)·소상(小祥)·대상(大祥)·개장(改葬)·거상잡의(居喪雜儀)·치부전장(致賻奠狀) 등의 절목으로 나누어 해설하였다.
권6의 제례는 사시제(四時祭)·기일(忌日)·묘제(墓祭)로 구분하여 재계(齊戒)·설위(設位)·진기(陳器)·구찬(具饌)·궐명숙흥(厥明夙興)·질명봉주(質明奉主)·참신(參神)·강신(降神)·진찬(進饌)·초헌(初獻)·아헌(亞獻)·종헌(終獻)·유식(侑食)·합문(闔門)·계문(啓門)·사신(辭神)·납주(納主)·철(徹)·준(餕) 등의 의절을 설명하였다.
그는 선유(先儒)의 학설을 많이 인용해 해설하였다. 그 중에는 이상정(李象靖)이 가장 많이 나오고, 기타 이황(李滉)·정구(鄭逑)·장현광(張顯光)·김장생(金長生)·송시열(宋時烈)·박세채(朴世采)·윤증(尹拯)·권상하(權尙夏) 등이 보인다. 자신의 의견을 말하고자 할 때는 ‘안……운운(按……云云)’하여 다른 학자의 설과 구분해 기록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편목의 구분이 번다하지 않고, 요긴한 것만 골라 실용에 편리하도록 엮어져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상제의집록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