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박민헌

다른 표기 언어 朴民獻 동의어 희정(希正), 정암(正菴), 슬한재(瑟僩齋), 의속헌(醫俗軒), 저헌(樗軒)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출생 1516년(중종 11)
사망 1586년(선조 19)
경력 예조좌랑, 춘추관기사관, 병조좌랑, 해남현감, 병조정랑, 대사간, 전라도관찰사
유형 인물
직업 문신
성별
분야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함양(咸陽)

요약 조선전기 병조정랑, 대사간, 전라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희정(希正), 초자는 이정(頤正), 호는 정암(正菴) 또는 슬한재(瑟僩齋)·의속헌(醫俗軒)·저헌(樗軒). 박휘(朴煇)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박영창(朴永昌)이고, 아버지는 좌랑 박유(朴瑜)이며, 어머니는 이원영(李源英)의 딸이다.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46년(명종 1) 사마시에 장원하고, 같은 해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성균관전적으로 기용되었다. 곧이어 예조좌랑·사간원정언을 지내고, 홍문관부수찬을 거쳐 공조좌랑에 춘추관기사관을 겸하였다.

그 뒤 병조좌랑·수찬을 지냈고, 1553년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다. 뒤에 해남현감(海南縣監)이 되었으나 1년 만에 삭탈관직을 당했다가, 2년 뒤 다시 기용되어 지평(持平)을 거쳐 홍문관교리에 지제교(知製敎)를 겸하였다.

그 뒤 의정부검상(議政府檢詳)과 사간원헌납(司諫院獻納)을 거쳐 병조정랑이 되었다. 종경청도감(鍾磬廳都監)을 거쳐, 사인(舍人)·장령·예문관응교를 지냈다.

1554년 공조참의에 승진되고, 곧이어 동부승지·대사간을 지내고, 강원도관찰사가 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아 삭탈관직되었다.

10년 뒤 다시 기용되어 상주목사(尙州牧使)가 되었으나 어머니의 봉양을 위해 충주목사로 옮겼다. 1570년(선조 3) 다시 강원도관찰사에 임명되고, 그 뒤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로서 사은사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장례원판결사(掌隷院判決事)가 되었다. 그 뒤 우부승지·전라도관찰사를 지냈다.

1575년 함경북도병마절도사를 지내고 돌아와서 한성우윤을 지내고 동지경연(同知經筵)에 오위도총부부총관을 겸하였다.

그 뒤 형조참판을 거쳐 다시 함경도관찰사가 되었다. 동지중추부사가 되었으나 일에 연루되어 하옥되었다가 곧 풀려났다. 1584년 복직되어 상호군·동지첨지부사 등을 지냈다.

서경덕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전공했고 역학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문장에 뛰어났다. 불의에 굽히지 않는 기질 때문에 이기(李芑)와 윤원형(尹元衡) 등의 미움을 사서 여러 번 배척을 당하였다.

변방의 수령이 되었을 때 왜란이 일어날 것을 미리 알고 낡은 병기를 보수하고 군대를 조련(調鍊)하는 등 무비에 힘썼다. 저서로는 『슬한재집(瑟僩齋集)』이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선조실록(宣祖實錄)』
  • ・ 『국조방목(國朝榜目)』
  •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 『을사전문록(乙巳傳聞錄)』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박민헌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