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조선 |
---|---|
저작자 | 윤진(尹搢) |
창작/발표시기 | 1833년(순조 33) |
성격 | 시문집 |
유형 | 문헌 |
권수/책수 | 4권 2책 |
간행/발행 | 윤헌규 |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도서관, 일본동양문고 |
요약 조선후기 문신·학자 윤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활자본. 1833년(순조 33) 그의 후손 헌규(憲圭) 등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도서관, 일본동양문고 등에 있다.
제1책 상권에 시 63수, 소 19편, 하권에 서(書) 23편, 잡저 1편, 제문 3편, 논 1편, 책 2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2책의 부록 상에는 연보, 부록 하에는 가장(家狀)·지명(誌銘)·신도비추기(神道碑追記)·묘표(墓表)·치제문(致祭文)·제문·만사(挽詞)·용계서원봉안제문(龍溪書院奉安祭文)·춘추향축문(春秋享祝文)·발문이 있다.
소는 사직소(辭職疏)가 대부분이나 붕당(朋黨)의 타파를 주장한 것도 있는데, 왕이 “시대에 적절한 것을 말하였으니 내가 유의하여 잊지 않겠다.”고 한 것을 보면 그의 정치적 구실이 컸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언로(言路)를 열 것과 구황(救荒)에 힘쓸 것을 건의한 내용이 있다.
「황정책(荒政策)」에서는 민생고를 덜기 위하여 군대와 정치의 완급을 잘 가릴 것과 세금의 징수방법을 개선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며, 백성을 덕화(德化)시키는 데에는 먼저 민생고가 해결되어야 한다는 것을 역설하였다. 그의 소와 책에는 당시의 정치·경제 사항 등과 관련된 것이 많으므로 사료적으로도 가치가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덕포유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