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조선 |
---|---|
출생 | 1534년(중종 29) |
사망 | 미상 |
유형 | 인물 |
직업 | 학자, 문신 |
성별 | 남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의령(宜寧) |
요약 조선전기 인심도심설을 토론하며 도학에 열중한 학자. 문신.
개설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장보(張甫)·계헌(季憲), 호는 고반(考槃)·정재(靜齋). 고조부는 좌의정 남지(南智)이고, 아버지는 부사 남치욱(南致勗)이며, 어머니는 지중추부사 유진동(柳振仝)의 딸이다. 이황(李滉)·김인후(金麟厚)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 이항(李恒)과 함께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을 토론하며 학문에 열중하였다. 그리고 정철(鄭澈)·변성온(卞成溫)·기효간(奇孝諫) 등과도 교유하였는데, 특히 이황은 ‘동방의 도학을 전수할 사람’이라고 하였다. 1568년(선조 1) 생원이 되고 학행으로 영의정 이탁(李鐸)의 천거를 받아 동몽교관(童蒙敎官)·빙고별좌를 제수 받았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그러나 곧 사직하여 전라도동복(同福)의 사평촌(沙坪村)에 정자를 짓고 인근의 선비들과 학문을 토론하며 서예에 열중하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 『호보(號譜)』
- ・ 『성호문집(星湖文集)』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남언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